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일일삼성(一日三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일일삼성(一日三省)은 하루에 세 번 자신을 돌아본다는 뜻으로, 매일 자신의 행동, 말, 마음가짐을 스스로 반성하고 잘못을 고치며 올바른 삶을 추구하려는 자세를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자기 성찰과 반성의 중요성을 상기시킬 때 자주 사용되며, 도덕적, 인격적 수양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일일삼성

 

이번 글에서는 일일삼성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일일삼성 뜻

일일삼성(一日三省)은 하루에 세 번 반성한다는 의미로, 자신의 언행이나 마음가짐을 늘 점검하고 부족함을 고치려는 자기 성찰의 태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특히, 도덕적 삶을 추구하고 인격 수양에 힘쓰는 태도를 비유합니다.

  • 一(하나 일): 하루
  • 日(날 일): 날
  • 三(셋 삼): 세
  • 省(살필 성): 살피다, 반성하다

즉, 일일삼성은 매일 자신을 여러 번 돌아보아 스스로를 바르게 다스리고 부족함을 고치려는 생활 태도를 의미합니다.

 

유래

‘일일삼성’은 중국 고전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에서 증자가 한 말에서 유래한 사자성어입니다.

증자는 "나는 매일 세 가지를 반성한다. 남을 위해 일을 하면서 충성스럽지 못했는가? 벗과 사귀면서 신의가 없지는 않았는가? 배운 것을 실천하지 않았는가?"라고 했으며, 이는 자신의 언행을 돌아보고 스스로를 갈고닦는 삶을 강조하는 대표적 고사입니다.

 

예문

일일삼성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매일 일일삼성의 자세로 자신의 하루를 돌아본다.
  • 일일삼성은 작은 실수조차 성찰하며 더 나은 자신을 만들게 한다.
  • 성공한 사람일수록 일일삼성의 습관을 잃지 않는다.

일일삼성일일삼성

 

일일삼성 반대말

일일삼성과 반대되는 의미의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일일삼성처럼 스스로를 돌아보는 겸손한 태도와 반대로 자만하고 남을 무시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자기합리화(自己合理化): 자신의 잘못을 정당화한다는 의미로, 일일삼성처럼 스스로를 돌아보고 고치는 태도와 반대로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며 반성을 하지 않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일일삼성 유의어

일일삼성과 유사한 뜻을 지닌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성찰(省察): 자신을 살펴보고 돌아본다는 뜻으로, 일일삼성처럼 자기 반성과 성찰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반성(反省):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고치려는 태도를 의미하며, 일일삼성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 수성(修省): 잘못을 고치고 자신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일일삼성과 같이 도덕적 수양과 자기 관리의 태도를 표현합니다.

 

끝맺음

일일삼성(一日三省)은 하루에도 여러 번 자신의 말과 행동, 마음가짐을 돌아보며 자신을 갈고 닦으려는 자기 성찰과 반성의 상징적인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일일삼성의 정신처럼 스스로를 돌아보고 개선하려는 겸손과 성장의 태도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심기일전(心機一轉) ⭐

심사숙고(深思熟考) ⭐

아비규환(阿鼻叫喚) ⭐

아전인수(我田引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