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무식(一字無識)은 한 글자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글자를 전혀 모를 정도로 배우지 못했거나 극심하게 무식한 상태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주로 학식이 매우 부족하거나 무지한 사람을 비하하거나 풍자할 때 사용되며, 자신의 무지함을 겸손하게 표현할 때도 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자무식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일자무식 뜻
일자무식(一字無識)은 한 글자도 알지 못한다는 의미로, 기초적인 글자조차 읽고 쓸 줄 모를 만큼 무식하거나 무지한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직접적인 무학을 표현하거나 상대의 학식 부족을 풍자할 때 사용됩니다.
- 一(하나 일): 하나
- 字(글자 자): 글자
- 無(없을 무): 없다
- 識(알 식): 알다
즉, 일자무식은 한 글자조차 모른다는 뜻에서 심각하게 학식이 부족한 사람을 나타냅니다.
유래
‘일자무식’은 고대부터 사용되어 온 관용적 표현으로, 문자를 모르는 사람을 가장 쉽게 풍자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과거 문맹률이 높았던 시기에는 학식 없는 사람이나 서민층을 비하하거나, 스스로 겸손을 표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비하적 표현보다는 자신의 무지를 솔직히 인정하거나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문
일자무식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일자무식이라 신문조차 읽지 못했다.
- 스마트폰도 못 쓰는 나는 요즘 세상에서 일자무식 같다.
- 일자무식이었던 그가 밤낮으로 공부해 대학에 합격했다.
일자무식 반대말
일자무식과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박학다식(博學多識): 학문이 넓고 아는 것이 많다는 뜻으로, 일자무식처럼 무식한 것이 아니라 학식이 풍부하고 식견이 깊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 일목요연(一目瞭然): 한 번 보면 분명히 안다는 뜻으로, 일자무식처럼 전혀 모르는 것과 달리 이해가 빠르고 통찰력이 뛰어난 사람을 의미합니다.
일자무식 유의어
일자무식과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목불식정(目不識丁): '丁'자도 모른다는 뜻으로, 일자무식과 같은 의미로 가장 기초적인 글자조차 모르는 상태를 표현합니다.
- 무식몽매(無識蒙昧): 아는 것이 없고 어두운 상태라는 뜻으로, 일자무식처럼 극도로 무지한 상태를 비유합니다.
- 몽매지인(蒙昧之人): 어리석고 무지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일자무식과 같은 맥락에서 학식이나 지식이 부족한 사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끝맺음
일자무식(一字無識)은 기초적인 글자조차 읽고 쓸 줄 모를 정도로 학식이 전혀 없는 상태를 비유하는 무지와 무학의 상징적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일자무식의 상태를 벗어나 배우고 성장하려는 자세가 더욱 중요하며, 스스로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끊임없이 학습하고 발전하는 태도가 필수적임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아비규환(阿鼻叫喚)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취월장(日就月將)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
일장춘몽(一場春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일일삼성(一日三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
일맥상통(一脈相通)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