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임기응변(臨機應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임기응변(臨機應變)은 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처한다는 뜻으로, 예기치 못한 상황이나 위기 앞에서 원칙에만 얽매이지 않고 그때그때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융통성 있게 대응하는 태도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특히, 위기관리, 외교, 리더십, 비즈니스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연성과 상황 대처 능력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임기응변

 

이번 글에서는 임기응변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임기응변 뜻

임기응변(臨機應變)은 상황에 임하여 변화에 응한다는 의미로, 예기치 않은 상황이나 문제 앞에서 정해진 규칙이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상황에 맞게 융통성 있고 현명하게 대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臨(임할 임): 임하다, 맞닥뜨리다
  • 機(기회 기): 기회, 상황
  • 應(응할 응): 대응하다
  • 變(변할 변): 변하다

즉, 임기응변은 변화하는 상황에 맞춰 적절히 대응하고 임기응변하는 지혜를 강조합니다.

 

유래

‘임기응변’은 중국 고전 병법과 행정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으로, 전란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을 융통성 있게 대처하여 위기를 돌파하는 지혜를 강조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일상생활, 정치, 외교, 기업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해진 틀에 갇히지 않고 순간적으로 상황을 파악해 적절히 대처하는 능력을 칭찬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임기응변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갑작스러운 질문에도 임기응변으로 상황을 모면했다.
  • 외교에서는 원칙도 중요하지만 때로는 임기응변도 필요하다.
  • 급박한 위기 상황에서도 임기응변 능력이 뛰어난 리더가 돋보였다.

임기응변임기응변

 

임기응변 반대말

임기응변과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집불통(固執不通): 고집이 세고 융통성이 없다는 뜻으로, 임기응변처럼 상황에 맞게 융통성 있게 대처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이나 원칙에만 집착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수구초심(守舊初心): 옛것만 고수한다는 뜻으로, 임기응변처럼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과 반대로 변화나 새로운 시도에 닫힌 태도를 의미합니다.

 

임기응변 유의어

임기응변과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변통(變通): 변화에 맞게 통한다는 뜻으로, 임기응변처럼 상황에 맞춰 융통성 있게 대처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권도(權道): 사리에 맞게 권변 하는 방법이라는 뜻으로, 임기응변과 같이 상황에 맞는 적절한 수단이나 방법을 강구하는 것을 비유합니다.
  • 시의적절(時宜適切): 시기와 상황에 알맞고 적절하다는 뜻으로, 임기응변처럼 상황 판단력과 적절한 대응 능력을 표현합니다.

 

끝맺음

임기응변(臨機應變)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융통성 있고 지혜롭게 순간순간 상황에 맞게 대처하는 유연성과 지혜의 상징적인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임기응변의 태도처럼 불확실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처하고 지혜롭게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엄처시하(嚴妻侍下) ⭐

여도지죄(餘桃之罪) ⭐

여리박빙(如履薄氷) ⭐

여민해락(與民偕樂)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