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입춘대길(立春大吉)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입춘대길(立春大吉)은 봄이 시작되는 날 큰 길운이 깃든다는 뜻으로, 입춘을 맞이하여 좋은 일이 가득하길 바라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전통적으로 대문이나 집안 기둥에 붙이며, 한 해의 안녕과 풍요, 행운을 기원하는 길상 문구로 사용됩니다. 특히, 입춘 시기에는 입춘첩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입춘대길


이번 글에서는 입춘대길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입춘대길 뜻

입춘대길(立春大吉)은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다는 의미로,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에 집안의 평안과 길운,
풍요와 건강을 기원하는 전통적인 문구입니다.
흔히 붉은 종이에 써서 대문이나 벽에 붙이며 한 해의 복과 행복을 기원하는 길상어입니다.

  • 立(설 립): 서다, 시작하다
  • 春(봄 춘): 봄
  • 大(클 대): 크다
  • 吉(길할 길): 길하다, 좋은 징조

즉, 입춘대길은 봄이 시작되었으니 큰 길운이 깃들기를 바란다는 전통적 축원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유래

‘입춘대길’은 중국과 한국에서 오랜 세월 동안 사용된 길상어로, 입춘일에 대문이나 기둥에 붉은 종이에 검은 글씨로 써 붙이는 풍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농경 사회에서는 새해 농사와 한 해의 운세를 점치는 중요한 날이었기 때문에 입춘대길이라는 문구를 통해 길운과 풍요를 기원하는 풍습이 자리 잡았습니다.

오늘날에도 입춘이 되면 집이나 사무실, 상점 등에 '입춘대길', '건양다경(建陽多慶)' 등의 글귀를 붙이며 한 해의 건강과 안녕, 행운을 기원합니다.

 

예문

입춘대길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마을 사람들은 입춘날 아침 일찍 입춘대길을 대문에 붙이며 한 해의 복을 기원했다.
  • 부모님 댁에 입춘대길 글귀를 붙이고 건강과 행운을 빌었다.
  • 사무실에 입춘대길을 붙이니 분위기가 한층 밝아졌다.

입춘대길입춘대길

 

입춘대길 반대말

입춘대길과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불길지조(不吉之兆): 좋지 않은 징조라는 뜻으로, 입춘대길처럼 길운을 기원하는 것과 반대로 흉한 징조나 나쁜 기운을 의미합니다.
  • 흉시흉일(凶時凶日): 나쁜 시간과 나쁜 날이라는 뜻으로, 입춘대길처럼 길한 날과 반대로 흉한 날이나 불길한 시기를 의미합니다.

 

입춘대길 유의어

입춘대길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만사형통(萬事亨通):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지고 순조롭다는 뜻으로, 입춘대길처럼 한 해의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잘 풀리기를 기원할 때 사용합니다.
  • 건양다경(建陽多慶): 새해에 경사가 많기를 빈다는 뜻으로, 입춘대길과 함께 입춘첩에 자주 사용되는 길상어입니다.
  • 개년대길(開年大吉): 새해를 맞이하여 큰 길운이 깃들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입춘대길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끝맺음

입춘대길(立春大吉)은 새해의 시작인 입춘을 맞아 한 해의 건강, 평안, 풍요, 길운을 기원하는 전통적인 길상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입춘대길의 의미처럼 새해에는 밝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담아 새로운 도약과 성취, 평안과 건강을 바라는 마음을 실천으로 이어가는 태도가 더욱 소중함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염화미소(拈華微笑) ⭐

오리무중(五里霧中) ⭐

오매불망(寤寐不忘) ⭐

오비삼척(吾鼻三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