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업자득(自業自得)은 자신이 지은 업보는 자신이 받는다는 뜻으로, 자신이 한 행동이나 잘못의 결과를 결국 자신이 감당하게 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특히, 나쁜 일을 저지른 결과가 자기 자신에게 되돌아올 때 자주 사용되며, 스스로 만든 결과를 스스로 감내해야 한다는 교훈적인 표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업자득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자업자득 뜻
자업자득(自業自得)은 자기가 지은 일은 자기가 받는다는 의미로, 자신의 행동, 특히 나쁜 행위나 실수, 잘못된 선택 등이 결국 자신에게 돌아와 자신이 그 책임과 결과를 감내해야 함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自(스스로 자): 스스로
- 業(업 업): 업, 행동
- 自(스스로 자): 스스로
- 得(얻을 득): 얻다
즉, 자업자득은 자신이 저지른 일이 스스로에게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원인과 결과의 책임이 모두 본인에게 있음을 강조합니다.
유래
‘자업자득’은 불교의 인과응보 사상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사람이 저지른 행위는 반드시 결과로 되돌아온다는 업(業) 사상을 표현한 대표적 사자성어입니다.
오늘날에 자업자득은 불교뿐 아니라 일반적인 일상에서도 자신의 잘못, 선택, 실수 등에 대해 스스로 결과를 책임져야 함을 강조하거나 비판할 때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예문
자업자득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거짓말을 반복하더니 결국 신뢰를 잃은 것은 자업자득이다.
- 준비 없이 도전했다가 실패한 것도 자업자득이다.
- 그는 자신의 욕심 때문에 친구들을 잃었으니 자업자득이다.
자업자득 반대말
자업자득과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타산지석(他山之石): 다른 사람의 잘못을 보고 교훈을 삼는다는 뜻으로, 자업자득처럼 자신의 잘못으로 고통받는 것이 아니라 남의 경험을 참고하여 실수를 예방하려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수동수감(受同受甘): 남이 한 일의 열매를 얻는다는 뜻으로, 자업자득처럼 자신의 행동 결과가 아니라 남의 노력 덕분에 결과를 얻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자업자득 유의어
자업자득과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초지종(自招之種): 스스로 부른 일의 씨앗이라는 뜻으로, 자업자득과 같이 자신이 부른 일의 결과를 자신이 겪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자승자박(自繩自縛): 스스로 만든 줄에 스스로 묶인다는 뜻으로, 자업자득처럼 자신의 언행이나 행동으로 스스로 곤경에 빠지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 인과응보(因果應報): 원인과 결과가 반드시 따른다는 뜻으로, 자업자득과 같은 인과론적 사고를 표현하는 대표적 사자성어입니다.
끝맺음
자업자득(自業自得)은 자신의 행동과 선택이 자기 자신에게 결과로 되돌아오며 그 책임 또한 자신이 지게 된다는 인과응보와 자기책임의 대표적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자업자득의 교훈처럼 자신의 언행과 행동이 자신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를 항상 성찰하고 신중히 행동하는 자세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원앙금침(鴛鴦衾枕)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반하장(賊反荷杖)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
작심삼일(作心三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자승자박(自繩自縛)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자손만대(子孫萬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자고이래(自古以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