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삼일(作心三日)은 마음을 굳게 먹어도 사흘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결심한 일이 오래가지 못하고 쉽게 흐지부지되어 버리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특히, 다이어트, 금연, 공부, 운동 등 생활 속 목표가 쉽게 포기될 때 자주 인용되며, 꾸준함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대조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작심삼일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작심삼일 뜻
작심삼일(作心三日)은 마음을 굳게 먹어도 겨우 사흘만 간다는 의미로, 결심이나 다짐을 해도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쉽게 포기하거나 흐지부지되어버리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다짐이 부족하거나 인내심이 약한 태도를 풍자하거나 경계할 때 사용됩니다.
- 作(지을 작): 만들다
- 心(마음 심): 마음
- 三(셋 삼): 세
- 日(날 일): 날
즉, 작심삼일은 결심이 사흘 이상 지속되지 못하는 허약한 의지력을 비판하는 말입니다.
유래
‘작심삼일’은 중국 고전이나 고사성어에 직접적인 유래는 없지만, 한국의 속담과 관용구에서 자주 인용된 표현입니다.
이는 결심이나 각오가 쉽게 흐트러지고 꾸준함이 부족한 인간의 나약함을 비판하거나 풍자하는 일상적 표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오늘날에도 다이어트, 금연, 목표 달성, 계획 세우기 등 일상 생활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사자성어 중 하나입니다.
예문
작심삼일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이어트 결심이 작심삼일로 끝났다.
- 금연을 선언했지만 또 작심삼일에 불과했다.
- 매일 영어 공부를 한다더니 작심삼일이 되고 말았다.
작심삼일 반대말
작심삼일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종일관(始終一貫):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다는 뜻으로, 작심삼일처럼 쉽게 포기하는 것과 달리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지속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근면성실(勤勉誠實): 부지런하고 성실하다는 뜻으로, 작심삼일처럼 흐지부지한 결심과는 반대로 꾸준하고 성실하게 목표를 실천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작심삼일 유의어
작심삼일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삼일천하(三日天下): 단 3일 동안만 권력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심삼일처럼 짧은 기간 동안만 지속되고 쉽게 무너지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 용두사미(龍頭蛇尾): 처음은 거창하지만 끝은 흐지부지하다는 뜻으로, 작심삼일처럼 결심은 크지만 실천이 부족해 흐지부지 끝나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 유야무야(有耶無耶): 흐지부지하여 확실한 결말이 없는 상태를 뜻하며, 작심삼일과 같이 처음의 다짐이 명확한 성과 없이 사라지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끝맺음
작심삼일(作心三日)은 결심한 일이 쉽게 흐지부지되어 사흘도 못 가고 포기하게 되는 나약한 의지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작심삼일의 교훈처럼 목표를 꾸준히 지키려면 장기적인 습관화와 자기 통제력이 더욱 중요함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유지경성(有志竟成)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재적소(適材適所)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
적반하장(賊反荷杖)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자업자득(自業自得)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자승자박(自繩自縛)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자손만대(子孫萬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