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조변석개(朝變夕改)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조변석개(朝變夕改)는 아침에 바꾸고 저녁에 또 고친다는 뜻으로, 정책이나 태도, 결정 등이 하루에도 몇 번씩 바뀌는 변덕스러움이나 비일관성을 비판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조변석개


오늘은 조변석개(朝變夕改)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변석개 뜻

  • 朝(아침 조): 아침
  • 變(변할 변): 바꾸다
  • 夕(저녁 석): 저녁
  • 改(고칠 개): 고치다

'조변석개(朝變夕改)'는 아침에 바꾸고 저녁에 또 고친다는 말로, 생각이나 방침이 너무 자주 바뀌어 혼란을 초래하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조변석개는 일관성 없는 정책이나 지시, 리더십의 불안정성을 풍자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유래

조변석개(朝變夕改)는 중국 『사기(史記)』나 『한서(漢書)』 등의 역사서에서 군주의 경솔한 정책 변경을 비판하며 사용된 고사성어입니다.
고대 정치 비평 문서에서는 군주의 통치가 빈번히 바뀌면 백성이 따를 수 없다고 경고하였으며, 이러한 비판적 맥락 속에서 ‘조변석개’는 혼란과 불신을 야기하는 행동으로 지적되어 왔습니다.

 

예문

조변석개(朝變夕改)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침이 매일 달라지니 현장에선 조변석개라며 불만이 쏟아졌다.
  • CEO의 결정이 너무 자주 바뀌어 임직원들이 조변석개에 혼란을 겪고 있다.
  • 정책이 조변석개식으로 오락가락하니 국민이 신뢰를 가질 수 없다.

이처럼 조변석개무계획적이고 일관성 없는 태도나 결정 변경을 부정적으로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조변석개조변석개조변석개

 

조변석개 유의어

  • 조개모변(朝改暮變): 아침에 고치고 저녁에 또 바꿈 
  • 조변모개(朝變暮改): 아침에 바꾸고 저녁에 고침 
  • 조석변개(朝夕變改): 아침저녁으로 달라짐 

이들 유의어는 모두 하루에도 수차례 바뀌는 방침, 즉흥적 결정, 불안정한 운영 등을 비판적으로 묘사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조변석개와 의미 및 어감 면에서 거의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끝맺음

조변석개(朝變夕改)는 리더나 제도가 일관되지 않고 자주 바뀌어 구성원이나 국민에게 혼란을 초래할 때 쓰는 사자성어입니다.
조직과 사회의 신뢰는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 위에서 형성되며, 이 말은 결정의 경솔함과 반복적 변경이 얼마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는지를 경고하는 표현으로 활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전고미문(前古未聞) ⭐

조변모개(朝變暮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