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전고미문(前古未聞)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by 하루리쌤

전고미문(前古未聞)은 예전에는 들어본 적이 없다는 뜻으로, 역사적으로 전례가 없거나 매우 드문 사례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전고미문


오늘은 전고미문(前古未聞)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고미문 뜻

  • 前(앞 전): 이전
  • 古(옛 고): 예전, 고대
  • 未(아닐 미): 아직 ~하지 않음
  • 聞(들을 문): 듣다, 들은 바

'전고미문(前古未聞)'은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을 만큼 유례가 드물거나 놀라운 일을 뜻합니다. 전고미문은 긍정적 의미로도, 부정적 충격으로도 모두 사용되며 비범하거나 파격적인 상황을 설명할 때 자주 쓰입니다.

 

유래

전고미문(前古未聞)은 중국 고대 문헌 《사기(史記)》와 《한서(漢書)》 등 역사서와 변론문에서 자주 사용된 표현으로, “이전 시대에는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는 의미로 특별하거나 파격적인 사례를 묘사할 때 등장합니다.
이후 전고미문은 한문학과 관찬문서, 한시 등에서 기록되지 않은 유일무이한 일, 또는 상상을 초월하는 사건을 나타내는 말로 정착했습니다.

 

예문

전고미문(前古未聞)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 나라의 왕이 직접 사죄하는 모습은 전고미문이라 할 만하다.
  • 이번 신기술은 인류 역사상 전고미문의 혁신으로 평가된다.
  • 정치인의 발언은 상식적으로도 전고미문 수준의 충격이었다.

이처럼 전고미문유례없는 사건, 파격적인 행보, 상상 밖의 일을 묘사할 때 널리 사용됩니다.

 

전고미문전고미문전고미문

 

전고미문 비슷한 말

  • 전대미문(前代未聞): 이전 시대에도 들은 적이 없음
  • 미증유(未曾有): 한 번도 일어난 적이 없는 일
  • 희대미문(稀代未聞): 아주 드물고 놀랄 만한 일

전대미문전고미문과 어순만 다를 뿐 의미는 동일하며 가장 자주 쓰이는 유의어입니다.
미증유전혀 경험한 적 없는 새로운 사건을 의미하며, 주로 대형 재난이나 유례 없는 정책 등에 사용됩니다.
희대미문세상에 드물고도 충격적인 사례를 묘사하며, 전고미문의 감정적 강조 표현입니다.

 

끝맺음

전고미문(前古未聞)은 과거 그 어떤 역사나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유례 없는 사건이나 발언, 상황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긍정적으로는 파격적 신기술이나 창의적 아이디어, 부정적으로는 충격적 사고나 상상 밖의 행위를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파급력이 크고 주목받을 만한 일에 적합한 표현으로, 문학·언론·논평 등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 관련 글 모음
운니지차(雲泥之差) ⭐

전부지공(田父之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