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중생회향(衆生廻向)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모든 선한 행위의 궁극적인 목적이 ‘나’가 아닌 ‘모든 중생’에게 향해야 한다는 깊은 뜻을 담은 말, 바로 '중생회향(衆生回向)'입니다.

 

썸네일

 

오늘은 중생회향(衆生回向)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중생회향 뜻

'중생회향(衆生回向)'은 '모든 중생(衆生)에게 회향(回向)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수행이나 선행의 공덕을 남을 위해 돌려준다는 의미의 불교 용어입니다.

  • 衆(무리 중): 많은 사람들, 중생
  • 生(날 생): 살아 있는 존재, 생명
  • 回(돌아올 회): 돌리다, 향하게 하다
  • 向(향할 향): 향하다

즉, 중생회향은 내가 쌓은 선한 행위의 힘을 나 혼자 가지지 않고, 모든 이웃과 중생을 위해 돌려준다는 깊은 자비심의 표현입니다.

 

유래

중생회향은 불교의 회향(回向) 개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회향은 '방향을 돌리다', '공덕을 돌리다'는 뜻으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화엄경(華嚴經)』, 『보살계경(菩薩戒經)』 등에서 "모든 보살은 자신이 쌓은 공덕을 중생을 위해 회향한다"는 표현이 반복적으로 등장합니다.

불교의 대표적인 회향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1. 자이회향(自利回向) – 자신의 깨달음을 위한 회향
  2. 이타회향(利他回向) – 중생의 구제를 위한 회향
  3. 중생회향(衆生回向) – 공덕을 모든 중생에게 돌림

 

예문

• 큰스님은 자신이 쌓은 모든 수행의 공덕을 중생회향한다고 말씀하셨다.
• 자선활동의 궁극적인 의미는 중생회향에 있듯, 나눔은 나 자신이 아닌 타인을 향해야 한다.
• 내가 쌓은 작은 공덕이 누군가의 고통을 덜어준다면, 그것이 곧 중생회향이다.
• 모든 불보살은 중생회향을 실천하여 모든 중생이 해탈에 이르도록 인도한다.
• 수행의 끝은 나를 위한 것이 아니라 중생회향으로 향해야 한다는 것이 불교의 가르침이다.

 

한자한자

 

중생회향 반대말

중생회향의 반대 개념은 수행이나 공덕을 자신만을 위해 독점하는 이기적인 태도를 뜻합니다.

 

전공자보(專功自保): 공덕을 오직 자신만을 위해 쌓고 지키는 것
독선자은(獨善自隱): 혼자만이 착하게 살고 덕을 감춘다는 의미
이기사심(利己私心): 오직 자신만의 이익을 추구하는 사사로운 마음

 

이들은 모두 공덕의 회향을 타인에게 돌리지 않는 폐쇄적 수행 또는 이기적 태도를 상징하며, 중생회향의 이타적 본질과는 정반대입니다.

 

중생회향 유의어

중생회향과 유사한 뜻을 가진 실제 불교 고사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현행원(普賢行願): 보현보살이 세운 중생 구제를 위한 실천과 원력
대자대비(大慈大悲): 큰 자비와 큰 슬픔으로 중생을 구제하려는 보살의 마음
회심자정(回心自淨): 마음을 돌이켜 청정하게 함으로써 중생 구제를 돕는 수행

 

끝맺음

중생회향은 단순히 선행을 하는 것을 넘어, 선한 마음과 결과를 모두에게 나누려는 궁극의 이타심을 뜻합니다.
개인의 해탈을 넘어 모두의 깨달음을 바라는 것이 진정한 수행의 완성입니다. 내가 오늘 한 선한 행위가 누군가에게 위로가 된다면, 그 순간 우리는 이미 중생회향을 실천한 것일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