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익조(比翼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비익조(比翼鳥)'는 진정한 사랑과 변치 않는 부부의 정을 상징하는 사자성어로, 서로 협력하고 떨어질 수 없는 이상적인 관계를 표현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익조(比翼鳥)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익조 뜻'비익조(比翼鳥)'는 '날개는 각각 하나지만 서로 붙어야 날 수 있는 한 쌍의 새', 즉 부부나 연인 간의 완벽한 협력과 일심동체의 사랑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比(견줄 비): 나란히 하다翼(날개 익): 날개鳥(새 조): 새이 새는 수컷과 암컷이 각각 한쪽 날개와 한쪽 눈만 있어 둘이 짝을 이뤄야 날 수 있다고 전해지며, 이 모습이 이상적인 부부 관계나 연인 사이의 상징으로 사용됩니다. 유래비익조는 중국 당나라 시기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장편 시 「장한가(長恨歌)..
붕우유신(朋友有信)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붕우유신(朋友有信)'은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유교적 인간관계를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붕우유신(朋友有信)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붕우유신 뜻'붕우유신(朋友有信)'은 '친구 사이에는(朋友) 믿음이 있어야 한다(有信)', 즉 우정의 기본은 서로 간의 신뢰에 있다는 의미입니다.朋(벗 붕): 친구, 동료友(벗 우): 친구有(있을 유): 있다信(믿을 신): 믿음, 신의붕우유신은 단순한 교우 관계를 넘어서, 친구 간에도 신의와 믿음을 지켜야 바른 인간관계가 성립됨을 강조합니다. 유래붕우유신은 『논어(論語) · 학이편(學而篇)』에 등장하는 유교의 오륜(五倫) 중 하나로,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인간관계의 도리 중 '붕우유신(朋友有信)'이 이에 해..
불치하문(不恥下問)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불치하문(不恥下問)'은 지위나 나이가 자기보다 아래인 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 태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불치하문(不恥下問)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불치하문 뜻'불치하문(不恥下問)'은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下問) 부끄러워하지 않는다(不恥)', 즉 지식이나 진리를 위해서라면 나이나 신분이 낮은 사람에게도 겸손히 묻는 태도를 뜻합니다.不(아닐 불): ~하지 않다恥(부끄러워할 치): 부끄러워하다下(아래 하): 아래, 아랫사람問(물을 문): 묻다불치하문은 배움에 있어 체면을 따지지 않고, 열린 자세로 겸손하게 학습하는 태도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불치하문은 『논어(論語) · 공야장편(公冶長篇)』에서 유래합니다. 공자는 자신이 존..
불가항력(不可抗力)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불가항력(不可抗力)'은 사람의 힘으로는 도저히 막거나 피할 수 없는 자연재해나 외부적 요인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불가항력(不可抗力)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불가항력 뜻'불가항력(不可抗力)'은 '저항할 수 없는 힘', 즉 사람의 의지나 힘으로는 막을 수 없는 외부적 요인이나 재해를 의미합니다.不(아닐 불): ~아니다可(허락할 가): 가능하다抗(막을 항): 저항하다力(힘 력): 힘주로 불가항력은 자연재해(지진, 홍수, 태풍 등)나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을 뜻하며, 법률·계약 등에서 책임이 면제되는 사유로 자주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유래불가항력은 동양 고전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라기보다는, 법률적·사회적 용어로 후대에 한자식으로 정립된 개념입니다.특히,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