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불가항력(不可抗力)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썸네일

 

'불가항력(不可抗力)'은 사람의 힘으로는 도저히 막거나 피할 수 없는 자연재해나 외부적 요인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불가항력(不可抗力)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불가항력 뜻

'불가항력(不可抗力)'은 '저항할 수 없는 힘', 즉 사람의 의지나 힘으로는 막을 수 없는 외부적 요인이나 재해를 의미합니다.

  • 不(아닐 불): ~아니다
  • 可(허락할 가): 가능하다
  • 抗(막을 항): 저항하다
  • 力(힘 력): 힘

주로 불가항력은 자연재해(지진, 홍수, 태풍 등)나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을 뜻하며, 법률·계약 등에서 책임이 면제되는 사유로 자주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유래

불가항력은 동양 고전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라기보다는, 법률적·사회적 용어로 후대에 한자식으로 정립된 개념입니다.

특히, 프랑스어 force majeure(강제적 힘) 또는 영미법의 Act of God(신의 행위)에서 유래해, 동아시아권에서는 '불가항력'이라는 한자어로 번역되어 법적 용어로 정착됐습니다.

현재는 계약서, 보험 약관, 법률 문서 등에서 '면책 사유'로 널리 사용됩니다.

 

예문

불가항력은 사람의 힘으로 예측하거나 피할 수 없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 이번 항공기 결항은 태풍이라는 불가항력 때문이었다.
    → 자연재해로 인한 조치
  • 천재지변은 계약상 불가항력 사유로 인정되어 위약금이 면제된다.
    → 계약 법리 적용 예
  • 그는 회사에 손해를 끼친 것이 아니라, 불가항력적인 외부 변수로 피해가 발생했다.
    → 책임 면제 상황 설명

 

한자한자

 

불가항력 반대말

불가항력의 반대 개념을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초지종(自招之種): 스스로 불러온 결과
    → 외부 요인이 아닌 내 탓
  • 자업자득(自業自得): 자기가 한 일은 자기가 받는다
    → 스스로 감당해야 할 책임

이 반대말들은 사람의 의지나 판단으로 피하거나 예방할 수 있었던 상황을 나타냅니다.

 

불가항력 유의어

불가항력과 유사한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천재지변(天災地變): 하늘과 땅이 일으키는 재난
    → 자연재해를 의미
  • 불측지변(不測之變): 예측할 수 없는 뜻밖의 사건
    → 사고나 위기 상황

이 유의어들은 모두 예기치 못한 외부적 요인이나 자연적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상황을 뜻합니다.

 

끝맺음

'불가항력(不可抗力)'은 우리 삶에서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한 이해와 책임의 경계를 가르는 기준이 됩니다. 비즈니스에서든 일상에서든, 우리가 모든 것을 책임질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불가항력적인 상황을 탓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안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치를 준비하는 자세입니다. 피할 수 없을 때에도, 대비할 수 있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