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671

명명백백(明明白白)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명명백백(明明白白)은 ‘아주 밝고 아주 분명하다’는 뜻으로, 의미나 사실이 너무나 분명하여 더 설명이 필요 없는 상태를 이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명명백백(明明白白)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명백백 뜻明(밝을 명): 분명하고 뚜렷하다白(흰 백): 밝고 명백하다‘명명백백(明明白白)’은 의심할 여지가 없이 확실하고 분명한 사실이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일반적으로 명명백백은 강조의 효과를 더하기 위해 같은 글자를 반복하여 사용하며, 누가 봐도 쉽게 알 수 있는 진실이나 결과를 표현할 때 적합합니다. 유래명명백백(明明白白)은 특정 고전에서 유래했다기보다는, 중국과 한국의 문헌, 한시(漢詩)나 문장 등에서 강조의 의미로 반복적 구조를 활용한 관용 표현입..
면종후언(面從後言)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면종후언(面從後言)은 ‘면전에서는 따르지만 뒤에서는 험담한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복종하는 척하면서도 뒤로는 비방하거나 반대하는 위선적 태도를 경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면종후언(面從後言)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면종후언 뜻面(낯 면): 얼굴, 앞從(좇을 종): 따르다, 순응하다後(뒤 후): 뒤에서, 나중에言(말씀 언): 말하다‘면종후언(面從後言)’은 앞에서는 순종하는 척하면서 뒤에서는 딴소리를 하거나 비난하는 이중적 행동을 뜻하며, 면종후언은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의 태도를 비판하거나 경계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면종후언(面從後言)은 중국 고전 『논어(論語)』 · 태백편(泰伯篇)에 등장하는 표현입니다.공자는 제자들에게 “면종복배자(面從腹背者)를 멀리하라”고 하며,..
망지소조(罔知所措)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망지소조(罔知所措)는 ‘어찌해야 할지 몰라 갈피를 잡지 못한다’는 뜻으로, 뜻밖의 상황이나 갑작스러운 충격에 얼어붙어 아무런 대응도 하지 못하는 상태를 묘사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망지소조(罔知所措)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망지소조 뜻罔(그물 망/없을 망): 없다, 모르다知(알 지): 알다所(바 소): ~할 곳, 대상措(둘 조): 두다, 처신하다, 대처하다‘망지소조(罔知所措)’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하거나 아예 멈춰버리는 상태를 의미하며, 극도의 당황, 공포, 충격 등으로 이성적 판단이 마비된 모습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망지소조(罔知所措)는 중국 한대(漢代) 문헌 및 유가 경전들에서 등장하는 표현으로, 갑작스러운 상황에 빠진 사람이 너무 놀라거나 혼란..
마중지봉(麻中之蓬)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마중지봉(麻中之蓬)은 ‘삼밭 속의 쑥’이라는 뜻으로, 좋은 환경이나 훌륭한 사람들과 함께하면 본성이나 성격도 자연스럽게 바르게 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마중지봉(麻中之蓬)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중지봉 뜻麻(삼 마): 삼(삼베 식물)中(가운데 중): ~속에, ~중에之(갈 지): ~의蓬(쑥 봉): 쑥(잡초의 일종)‘마중지봉(麻中之蓬)’은 곧은 삼들 속에 자라는 쑥은 저절로 곧아진다는 뜻으로, 마중지봉은 훌륭한 환경이나 사람들과 함께하면 자연스럽게 영향을 받아 바르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유래마중지봉(麻中之蓬)은 중국 고전 『순자(荀子) · 권학편(勸學篇)』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蓬生麻中 不扶而直.”(쑥이 삼밭에서 자라면 붙잡아주지 않아도 곧게 자란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