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64 담수지교(淡水之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담수지교(淡水之交)는 맑은 물처럼 담백한 우정이라는 뜻으로, 이해관계나 이익 없이 순수하게 맺어진 맑고 깨끗한 친구 사이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담수지교(淡水之交)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담수지교 뜻淡(맑을 담): 싱겁고 담백하다水(물 수): 물, 맑은 물之(갈 지): ~의交(사귈 교): 교제, 우정‘담수지교(淡水之交)’는 맑은 물처럼 깨끗하고 담백한 친구 관계를 비유한 말로, 사사로운 이익이나 목적 없이 진정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맺어진 우정을 나타냅니다. 유래담수지교(淡水之交)는 『장자(莊子) · 산목편(山木篇)』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장자(莊子)는 진정한 우정에 대해 말하면서,“군자의 교제는 담수지교요, 소인의 교제는 감탁지교(甘濁之交)라.”라고 하였.. 담소자약(談笑自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담소자약(談笑自若)은 웃고 이야기하면서도 태연하다는 뜻으로, 긴장되거나 위급한 상황에서도 흔들림 없이 침착하게 행동하는 자세를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담소자약(談笑自若)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담소자약 뜻談(말씀 담): 이야기하다, 대화하다笑(웃을 소): 웃다自(스스로 자): 스스로若(같을 약): 평상시와 같다, 여유롭다‘담소자약(談笑自若)’은 말도 하고 웃기도 하면서도 평소처럼 침착한 태도를 유지함을 뜻하며, 위기 상황에서도 여유와 자신감을 잃지 않는 태도를 상징하는 표현입니다. 유래담소자약(談笑自若)은 특정한 고사에서 유래하기보다는, 중국 역사서와 문인들의 문장에서 ‘위기 속에서도 여유를 잃지 않는 인물’을 묘사할 때 관용적으로 쓰이던 표현입니다.예를 들.. 단표누항(簞瓢陋巷)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단표누항(簞瓢陋巷)은 대바구니에 담긴 밥과 표주박의 물, 그리고 누추한 골목이라는 뜻으로, 물질적으로는 가난하지만 도를 즐기며 살아가는 청빈한 삶의 자세를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단표누항(簞瓢陋巷)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표누항 뜻簞(소쿠리 단): 대나무 바구니, 보통 밥을 담는 용기瓢(표주박 표): 물을 담는 그릇陋(누추할 누): 누추하다, 초라하다巷(거리 항): 골목, 거리'단표누항(簞瓢陋巷)'은 밥과 물만으로 연명하는 가난한 생활을 하며 누추한 곳에 사는 모습을 뜻하며, 단표누항은 단순한 빈곤이 아니라 그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는 고결한 삶을 의미합니다. 유래단표누항(簞瓢陋巷)은 『논어(論語) · 옹야편(雍也篇)』에 나오는 공자와 제자.. 단순호치(丹脣皓齒)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단순호치(丹脣皓齒)는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 여인의 고운 얼굴, 특히 단정하고 아름다운 용모를 묘사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단순호치(丹脣皓齒)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순호치 뜻丹(붉을 단): 붉은색, 특히 선명하고 맑은 붉은 빛脣(입술 순): 입술皓(흴 호): 새하얗다, 맑고 밝다齒(이 치): 이, 치아'단순호치(丹脣皓齒)'는 붉은 입술과 희고 가지런한 이라는 뜻으로, 아름답고 단정한 여인의 용모를 묘사하는 고전적 표현입니다. 유래단순호치(丹脣皓齒)는 고대 중국 시경(詩經)이나 한시(漢詩)에서 미인의 외모를 묘사할 때 자주 등장한 수사적 표현입니다.특히, 『시경 · 소아(小雅)』 등의 시구에서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는 여성의 건강하고 고운 미모..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