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가담항설(街談巷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이 얘기 들었어?", "어디서 들은 건데 말이야..."
하루에도 몇 번씩 오가는 말들 속엔 진실도 있지만, 근거 없는 소문도 넘쳐납니다. 그런 이야기에 쉽게 휘둘려 판단을 흐리는 건 결국 스스로를 갉아먹는 일이죠.

이처럼 출처 불분명한 이야기, 길거리에서 떠도는 말, 누구나 말하지만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이야기를 단 한 마디로 표현하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그게 바로 '가담항설(街談巷說)'입니다.

 

 

지금 바로 가담항설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까지 모두 소개해 드립니다.

 

가담항설 뜻

'가담항설(街談巷說)'은 한자로 거리 가(街), 이야기 담(談), 골목 항(巷), 말씀 설(說)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이라는 뜻입니다. 의역하면, 사실 여부가 불분명한 소문이나 민간에서 떠도는 말들을 의미하죠.

 

유래

가담항설은 고전 문헌에서도 종종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중국의 고전인 사기(史記) 한서(漢書)에서도 유사한 용례가 확인되며, 조선시대에도 백성들 사이에 떠도는 소문이나 유언비어를 지칭할 때 가담항설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가담항설은 근거 없는 말이 빠르게 퍼지고, 그 영향력이 커지는 상황을 경계할 때 주로 쓰입니다.

 

예문

가담항설은 단순한 '소문'이 아닙니다. 출처가 불분명한 이야기지만,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번지며 하나의 '사실처럼' 받아들여지는 위험한 정보를 말합니다. 다음은 일상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가담항설 사용 예시들입니다.

  • 그건 그냥 가담항설이야. 믿을 만한 정보는 아니야.
  • 요즘 인터넷에도 가담항설 같은 글이 너무 많아서 혼란스러워.
  • 가담항설에 속아 투자했다가 큰 손해를 본 사람이 많아.
  • 정치권도 사실보다 가담항설이 더 빠르게 퍼지는 게 문제야.

한자한자

 

이처럼 가담항설은 미디어, SNS, 입소문 등 현대 커뮤니케이션 구조에서도 여전히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투자 정보, 연예계 소식, 건강 루머, 정치 이슈에 대해 확인되지 않은 말들이 확산될 때 가담항설이 아주 적절하게 사용됩니다.

 

가담항설 반대말

가담항설의 반대로 검증된 말, 사실에 입각한 말, 진실을 말하는 태도를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대표적인 유의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실사구시(實事求是): 사실에 입각해 진리를 찾음. 확인된 정보 중시.
  • 언행일치(言行一致): 말과 행동이 같아야 신뢰가 간다는 가치관.

 

가담항설 유의어

가담항설처럼 확실하지 않은 이야기, 근거 없는 소문, 사람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말을 나타내는 사자성어는 꽤 많습니다. 

가담항설 이외에도 가담항어(街談巷語), 가설항담(街說巷談), 가담항의(街談巷議)라는 동의어 사자성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유언비어(流言蜚語): 근거 없는 헛소문. 남을 헐뜯거나 혼란을 조장할 때 사용.
  • 도청도설(道聽塗說): 길에서 들은 말을 길에서 말함. 검증되지 않은 정보의 순환.

 

끝맺음

세상엔 말이 너무 많습니다. 누구나 말하지만,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이야기들. 그 속에서 진짜를 가려내는 힘은, 소문이 아닌 사실을 중시하는 태도에서 나옵니다.

가담항설은 단순한 헛소문이 아닙니다. 판단을 흐리게 하고, 사람 사이를 갈라놓고, 때론 사회 전체를 흔드는 무형의 위험입니다.

확인되지 않은 말이 떠돌 때, 당신은 그걸 퍼뜨리는 사람이 될 건가요? 아니면 잠시 멈추고, 진실을 확인하는 사람이 될 건가요? 소문을 이기는 건 판단력과 지성, 그리고 책임감 있는 언어생활입니다.

 

 

👇 관련 글 모음

수처작주(隨處作主) ⭐

각자도생(各自圖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