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도원결의(桃園結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진짜 의형제는 피보다 진하다."
우정에도 책임이 있고, 의리에도 무게가 있다는 걸 보여주는 고사가 있습니다. 그 어떤 핏줄보다 굳건한 의리로 세상을 바꾸려 했던 세 사람의 이야기. 바로 그 유명한 '도원결의(桃園結義)'입니다.

 

 

현대에서도 진실된 우정, 강한 팀워크, 함께 싸울 동지에 대한 상징으로 자주 쓰이는 이 사자성어는, 단순한 고사를 넘어 가치와 믿음을 말합니다. 지금 바로 도원결의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까지 모두 소개해 드립니다.

 

도원결의 뜻

'도원결의(桃園結義)'는 한자로 복숭아나무 도(桃)동산 원(園)맺을 결(結)의로울 의(義)로 구성되며, 즉, '복숭아 동산에서 의(義)로 맺은 결의'를 뜻합니다.

 

유래

이 말은 중국의 고전 소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 유래합니다. 후한 말 혼란기에 유비(劉備), 관우(關羽), 장비(張飛) 세 사람이 복숭아꽃이 만발한 정원에서 의형제를 맺으며 나라를 위해 힘을 합치기로 맹세한 장면에서 비롯되었죠.

이 장면은 비록 소설 속 창작이지만, 그 정신은 수백 년간 우정, 의리, 공동 목표, 희생정신의 상징으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예문

도원결의는 단순한 친구 관계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생사를 함께하겠다는 각오, 서로를 배신하지 않겠다는 신의, 공동의 대의를 위한 헌신. 오늘날 이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은 맥락에서 쓰입니다.

  • 우린 단순한 동료가 아니야. 거의 도원결의 수준이야.
  • 20년 지기 친구 셋이 함께 창업을 했는데, 완전 도원결의 느낌이었다.
  • 군대 동기들끼리 도원결의 하고, 전역 후에도 꾸준히 의리를 지키더라.

 

이처럼 특별한 관계, 깊은 신뢰, 목표를 공유하는 관계에 이 말이 어울립니다. 특히, 스타트업 창업 멤버들사회 운동가들의리파 친구들 사이에서 자주 인용됩니다.

 

도원결의 반대말

다음으로 소개해 드릴 사자성어들은 신의 없는 관계의리 없는 만남자기 이익 중심의 동맹 등을 표현하며, 도원결의의 진정성과는 대조됩니다.

  • 배은망덕(背恩忘德): 은혜를 잊고 도리를 저버림. 형제의 의를 배신할 때.
  • 형식지교(刑戚之交): 이익을 위해서만 맺어진 친구 관계. 상황 따라 갈라지는 인연.
  • 이합집산(離合集散): 뭉쳤다 흩어졌다 반복하는 관계. 목적만 같을 뿐 정이 없음.
  • 표리부동(表裏不同): 겉과 속이 다른 태도. 친구처럼 굴지만 속마음은 다름.

 

도원결의 유의어

해당 사자성어들은 도원결의와 마찬가지로 우정, 의리, 진정성, 평생 동반자적 관계를 상징합니다.

  • 관포지교(管鮑之交):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 친구 간 진심어린 신뢰를 뜻함.
  • 지란지교(芝蘭之交):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 고결하고 오래가는 친분.
  • 죽마고우(竹馬故友): 대나무 말 타고 놀던 오랜 친구. 어릴 적부터의 깊은 관계.
  • 수어지교(水魚之交): 물과 물고기의 관계. 떨어질 수 없는 친밀한 사이.
  • 금란지계(金蘭之契): 금처럼 단단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맹세. 형제 이상의 의형제 관계.

 

끝맺음

도원결의는 고사 속 이야기지만, 진짜 친구, 진짜 동료, 진짜 동지가 무엇인지 끊임없이 묻는 말입니다. 단순한 약속이 아니라, 가치와 대의를 함께 하겠다는 진심 어린 맹세가 담긴 표현이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도원결의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누구와 함께 싸우고, 누구와 길을 걷고 있는지를 돌아보게 하는 말. "진짜 같은 길을 가는 사람인가?" 그 물음 앞에서, 도원결의는 여전히 빛납니다.

 

 

👇 관련 글 모음

입신양명(立身揚名) ⭐

수처작주(隨處作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