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각골통한(刻骨痛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시간이 지나도 절대 잊히지 않아.” 살다 보면 잊고 싶어도 잊히지 않는 일, 생각만 해도 가슴을 후벼 파는 후회의 순간들이 있습니다. 그 감정을 단 한 마디로 표현하는 사자성어가 바로 “각골통한(刻骨痛恨)”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각골통한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각골통한 뜻

각골통한(刻骨痛恨)은 다음과 같은 한자로 구성됩니다.

  • 새길 각(刻)
  • 뼈 골(骨)
  • 아플 통(痛)
  • 한할 한(恨)

각골통한을 직역하면 “뼈에 새겨질 정도로 아픈 한(恨)”, 의역하면 “평생 지워지지 않을 정도로 깊은 후회와 슬픔”을 의미합니다.

각골통한은 주로 후회할 수밖에 없는 실수, 떠나보낸 인연, 되돌릴 수 없는 선택을 두고 자신을 자책하거나 가슴 아파하는 감정을 강하게 담아낼 때 사용됩니다.

 

유래

각골통한은 고전 문헌에서는 역사의 실수나 정치적 배신, 형제 간의 오해로 인해 벌어진 비극을 서술하며 등장했고, 현대에는 감정적으로 지워지지 않는 트라우마, 죄책감, 비극적 상실을 표현할 때 널리 쓰입니다.

 

예문

각골통한은 단순히 ‘아쉬움’이나 ‘섭섭함’이 아닙니다. 이 사자성어가 쓰일 수 있는 감정은 훨씬 무겁고, 오래가며,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 상흔입니다. 예문을 통해 그 의미를 더 분명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그때 그 말을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정말 각골통한이다.
  • 사랑하는 사람을 오해하고 떠나보낸 건 내 인생에서 가장 각골통한 순간이었다.
  • 그 결정 하나가 회사를 무너뜨렸고, 평생 각골통한으로 남았다.
  • 지금도 문득 떠오르면 숨이 막힐 만큼 각골통한이 밀려온다.

한자한자

 

이처럼 각골통한은 단순히 기억이 아닌, 감정이 새겨진 기억, 마음속 깊은 상처를 뜻합니다.

 

각골통한 반대말

각골통한의 반대말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각골통한은 깊고 오래가는 후회와 고통을 뜻하므로, 그 반대는 후회 없는 선택, 만족스러운 결정, 마음의 평화를 의미하는 사자성어들이 해당됩니다.

  • 쾌심정대(快心正大) – 마음이 시원하고 정정당당함. 후회 없는 선택.
  • 무우지탄(無憂之歎) – 걱정 없이 만족스러움을 느끼는 상태.
  • 무한지락(無恨之樂) – 한이 없는 기쁨. 평화롭고 후회 없는 삶.
  • 지족안분(知足安分) – 스스로 만족하고 분수를 지키며 사는 삶.

이러한 표현들은 모두 과거의 실수에 얽매이지 않고, 현재에 충실하며 평온한 삶을 살아가는 자세를 나타냅니다.

 

각골통한 유의어

각골통한의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표현들은 지워지지 않는 후회, 깊은 고통, 마음속에 남는 한을 강조하는 사자성어들입니다.

  • 각골분한(刻骨憤恨) - 뼈에 새겨질 만큼 마음속 깊이 분하고 한스러움.
  • 각골지통(刻骨之痛) - 뼈에 사무칠 정도의 원통하고 분한 일.
  • 통탄일생(痛歎一生) – 평생을 통곡하며 탄식함. 지울 수 없는 후회.

이러한 표현들은 모두 후회, 아쉬움, 돌이킬 수 없는 감정과 관련되어 각골통한과 비슷한 뉘앙스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끝맺음

누구나 살면서 하나쯤은 “각골통한”의 순간이 있습니다. 지금 생각해도 숨이 막히고, 다시 돌아간다면 절대 그렇게 하지 않을 일.

하지만, 때로 그 후회는 더 나은 선택을 위한 기준이 되고, 다시는 반복하지 않겠다는 다짐의 뿌리가 되기도 합니다.

각골통한은 우리가 스스로를 돌아보고, 성장하게 만드는 감정입니다. 그 감정이 너무 오래 머무르지 않도록, 그만큼의 배움과 용서로 채워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 관련 글 모음
각골난망(刻骨難忘) ⭐

각고면려(刻苦勉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