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는 노력한 만큼 따라온다.” 누구나 알고는 있지만, 실제로 그 과정을 견뎌내는 일은 결코 쉽지 않죠.
잠을 줄이고, 하고 싶은 걸 참고, 실패해도 다시 일어서며 스스로를 독하게 다듬는 사람에게 딱 어울리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바로 “각고면려(刻苦勉勵)”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고면려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각고면려 뜻
각고면려(刻苦勉勵)는 다음과 같은 한자로 구성됩니다.
- 새길 각(刻)
- 쓸 고(苦)
- 힘쓸 면(勉)
- 힘쓸 려(勵)
각고면려는 직역하면 “고통을 새기며 힘쓰고 또 힘쓴다”는 의미이며, 의역하면 “고된 과정을 참고 견디며 부단히 노력한다”는 뜻입니다.
유래
각고면려는 고대 중국에서 유래하였으며, 특히 학문이나 자기 수양, 공직 수행 등에서 끊임없이 정진하는 자세를 강조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과거 조선시대 선비들은 공부에 몰두하거나 과거 시험을 준비하며 “각고면려”를 삶의 중심 태도로 삼았다고도 전해집니다.
예문
“죽어라 공부했어.”, “운동하다가 진짜 울 뻔했어.” 이런 말 뒤에는 항상 각고면려의 흔적이 담겨 있습니다. 남들이 보기엔 단순히 성실해 보이는 정도지만, 당사자에겐 뼈를 깎는 자기 관리와 인내의 시간이 있죠.
현대에서도 각고면려는 다음과 같은 맥락에서 쓰입니다.
- 그는 각고면려 끝에 마침내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나 훈련한 각고면려의 결실이 드디어 드러났다.
- 사업 실패 후에도 각고면려 한 끝에 다시 재기에 성공했다.
- 이 성과는 수많은 날의 각고면려 없이는 불가능했을 겁니다.
즉, 단순한 ‘열심히’가 아니라, 스스로를 깎고 다듬어가며 버텨낸 태도를 강조할 때 각고면려라는 말이 정확히 들어맞습니다.
각고면려 반대말
각고면려의 반대말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표현은 고통을 견디며 노력하고 정진하는 삶을 뜻하므로, 그 반대는 게으름, 나태, 무기력, 무노력의 상태를 말합니다.
- 좌정관천(坐井觀天) – 우물 안에 앉아 하늘을 본다. 시야가 좁고 노력도 하지 않음.
- 태만자폐(怠慢自閉) – 게으르고 스스로를 가둔 채 노력하지 않는 모습.
- 식언망행(食言妄行) – 말은 앞세우고 행동은 없다는 뜻으로, 실천이 없는 사람을 비판할 때.
- 부지기수(不知其數) – 너무 많아 셀 수 없는 무책임함과 나태함의 상징.
이러한 표현은 모두 노력 없는 안일함이나 변화를 거부하는 태도를 비판할 때 쓰입니다. 각고면려의 정신과는 정반대죠.
각고면려 유의어
각고면려의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이와 비슷한 뜻을 가진 사자성어는 인내, 끈기, 자기수양, 목표를 향한 지속적인 노력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 마부작침(磨斧作針)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지극한 끈기와 노력의 상징.
- 형설지공(螢雪之功) – 반딧불, 눈빛 아래서 공부했다는 말로, 고생 끝의 성공을 의미.
- 우공이산(愚公移山) –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기듯, 불가능을 가능케 한 끈기.
- 발분망식(發憤忘食) – 분발하여 밥 먹는 것도 잊음. 어떤 일에 완전히 몰입한 상태.
- 불요불굴(不撓不屈) – 꺾이지 않고 굴복하지 않는 자세.
이러한 사자성어들은 모두 각고면려처럼 자기 자신과 싸워 끝까지 노력하는 자세를 드러냅니다.
끝맺음
노력이라는 단어는 누구나 쓰지만, 진짜 ‘각고면려’의 삶을 살아본 사람만이 안다. 고통을 새기고, 피를 말리는 시간을 버텨내야만 비로소 진짜 열매가 맺힌다는 사실을.
각고면려는 단순한 노력의 미화가 아닙니다. 자기 자신과의 싸움, 포기하고 싶은 순간들을 이겨낸 사람만이 쓸 수 있는 단어입니다. 남들이 보지 않는 곳에서, 남몰래 흘린 땀방울. 그 모든 것이 결국 당신을 빛나게 합니다. 지금의 인내는, 곧 당신의 자산이 될 겁니다.
👇 관련 글 모음
각골난망(刻骨難忘)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자무치(角者無齒)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7 |
---|---|
각골통한(刻骨痛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7 |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7 |
각골난망(刻骨難忘)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7 |
가렴주구(苛斂誅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