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마주하는 수많은 사람들. 지하철, 버스, 거리에서 스쳐 지나가는 이들 가운데 우리는 보통 '특별한 사람'이 아닌 '보통 사람'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평범함이 때로는 가장 소중한 가치이기도 하죠. 이런 평범한 사람들을 대표하는 사자성어가 바로 '갑남을녀(甲男乙女)'입니다.
오늘은 갑남을녀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를 소개하겠습니다.
갑남을녀 뜻
'갑남을녀(甲男乙女)'는 '보통의 남자와 여자', 즉 특별하지 않은 일반 대중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甲(갑 갑): 첫 번째 순서, 또는 무명의 남자
- 男(남자 남)
- 乙(을 을): 두 번째 순서, 또는 무명의 여자
- 女(여자 여)
갑남을녀는 어디에나 있을 법한 남녀를 대표하는 표현으로, 드라마나 뉴스 속 '평범한 한 사람'이라는 말이 바로 갑남을녀를 설명하는 것이죠.
유래
갑남을녀라는 표현은 고전 문헌 중 중국의 역사서와 문학 작품 속에서 등장한 언어 표현으로, 특정한 인물이 아닌 순번을 나타내는 '갑', '을'을 인명 대용어로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예전에는 신분제 사회에서 이름이 없는 하층민을 '갑', '을'로 부르며, 공식 문서나 판결문에서도 익명의 사람을 '갑남' 또는 '을녀'로 지칭하곤 했습니다.
그 관습이 굳어지면서, 오늘날 갑남을녀는 익명성과 보편성을 상징하는 사자성어로 자리 잡게 된 것입니다.
예문
다음 예문에서 알 수 있듯, 갑남을녀는 비하적 표현이 아니라, 누구나 해당할 수 있는 보통 사람의 상징으로 사용됩니다. 사회 참여, 여론 형성, 공동체 구성의 주체로서의 일반 시민을 지칭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 그는 특별한 능력이 없는 평범한 갑남을녀였지만, 누구보다 성실했다.
- 이번 캠페인은 연예인이 아닌 갑남을녀들이 직접 참여하는 행사입니다.
- 사건의 피해자는 이름 없는 갑남을녀였지만, 그 목소리는 세상을 움직였다.
갑남을녀 반대말
갑남을녀의 반대 개념은 평범하지 않은 사람, 즉 특별하거나 드문 존재입니다. 다음과 같은 고사성어가 비슷한 반대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 인중지룡(人中之龍) – 사람들 중 뛰어난 자
- 영웅호걸(英雄豪傑) – 특별한 능력과 용기를 가진 인물
- 기린아(麒麟兒) – 뛰어난 인재를 뜻하는 비유
- 절세가인(絕世佳人) – 세상에 둘도 없는 뛰어난 사람
이러한 표현들은 눈에 띄고, 영향력이 크고, 기억에 남는 사람을 뜻하며, 갑남을녀의 평범함과는 대비되는 특출함을 나타냅니다.
갑남을녀 유의어
갑남을녀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 어휘들도 함께 알아두면 좋습니다.
- 초동급부(樵童汲婦)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 곧, 평범한 사람들.
- 장삼이사(張三李四) - 이름 없는 평민 남녀
- 필부필부(匹夫匹婦) – 이름 없는 평민 남녀
이처럼 갑남을녀는 특별하지 않지만, 세상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구성원을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끝맺음
갑남을녀는 평범하지만 결코 하찮지 않습니다. 세상을 움직이는 건 언제나 거창한 위인이 아니라, 수많은 평범한 사람들의 작은 선택입니다.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갑남을녀로 살아가고 있지만, 그 속에서 자신만의 이야기와 가치를 만들어가는 것이 진짜 인생이 아닐까요? 이 시대의 모든 갑남을녀에게 전합니다. 당신은 평범하지만, 결코 작지 않습니다.
👇 관련 글 모음
가인박명(佳人薄命)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호연파(江湖煙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9 |
---|---|
강구연월(康衢煙月)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
가인박명(佳人薄命)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
감탄고토(甘呑苦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