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슬픈 여주인공, 문학 속 요절한 천재 시인, 현실에서도 짧지만 강렬했던 삶을 살다간 사람들. 우리는 종종 이들에게 아름다우면서도 안타까운 운명이라는 수식을 붙입니다.
그럴 때 떠오르는 대표적인 사자성어가 바로 '가인박명(佳人薄命)'입니다. 그저 예쁜 사람의 짧은 생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움과 비극이 교차하는 인생에 대한 함축적인 표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인박명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가인박명 뜻
'가인박명(佳人薄命)'은 '아름다운 여인은 명이 짧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 佳(아름다울 가)
- 人(사람 인)
- 薄(엷을 박)
- 命(목숨 명)
가인박명은 직역하면 ‘아름다운 사람은 수명이 짧다’는 의미고, 의역하면 외모나 재능이 뛰어난 사람일수록 험난한 삶을 살거나 요절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가인박명은 돋보이는 사람일수록 세상의 시기, 질투, 혹은 시대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안타까운 결말을 맞이한다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유래
가인박명의 개념은 중국 문학과 역사 속 비극적 인물들에게 자주 붙는 수식이었습니다.
대표적으로 당나라 시인 이백이 노래한 양귀비, 초나라 항우의 연인 우희, 서시, 초선, 왕소군 등 미모와 슬픈 운명을 동시에 지녔던 인물들이 그 대상이었죠.
이후 한국에서도 허난설헌, 유관순, 신사임당의 딸 매창 등 짧지만 강렬한 삶을 살았던 여성 인물들에게 가인박명이라는 말이 자주 인용되었고, 오늘날에는 남녀 구분 없이 빛나는 사람들의 안타까운 요절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가인박명은 인생의 아름다움과 허무함이 교차하는 순간, 또는 짧고 비극적인 생을 산 인물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사자성어입니다.
- 그 배우는 외모와 재능 모두 뛰어났지만 요절했다. 정말 가인박명이란 말이 떠오른다.
- 조선시대 여성 시인 허난설헌의 삶은 가히 가인박명의 전형이라 할 만하다.
- 그는 짧은 생애를 살았지만 모두의 기억에 남았다. 가인박명이지만 그 삶은 찬란했다.
가인박명 반대말
가인박명의 반대는 눈에 띄진 않아도 안정적이고 오래도록 이어지는 삶을 의미합니다. 직접적인 반의어 사자성어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 무탈장수(無咎長壽) – 탈 없이 오래 사는 것
- 안분지족(安分知足) – 분수에 만족하며 평온하게 사는 삶
- 장수만세(長壽萬歲) – 오래 살기를 기원하는 말
- 백세청풍(百歲淸風) – 깨끗하고 맑은 마음으로 백세를 누리다
이러한 표현은 무탈함, 평온함, 길게 사는 삶을 상징하며, 가인박명의 비극성과는 정반대의 삶의 방향을 보여줍니다.
가인박명 유의어
가인박명과 비슷한 의미나 정서를 담은 사자성어도 있습니다. 주로 슬픈 운명, 재능의 요절, 아름다움과 비극의 공존을 담고 있는 표현들입니다.
- 단명요절(短命夭折) – 수명이 짧고 일찍 죽음
- 영수불장(英壽不長) – 뛰어난 사람은 오래 살지 못함
- 요절비재(夭折非才) – 재능 있는 이의 요절을 아쉬워함
-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 꽃은 열흘을 넘기지 못한다, 모든 것은 오래가지 않음을 뜻함
- 명화유실(名花有失) – 아름다운 사람에게도 흠이 있다 (삶의 아이러니)
이처럼 가인박명은 단순한 말이 아니라, 삶의 부조리, 재능의 덧없음, 아름다움의 상처를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고급스러운 언어입니다.
끝맺음
가인박명은 세상에 대한 감정, 인간의 덧없음, 삶의 불공평함에 대한 성찰이 담겨 있습니다. 그 누구보다 찬란했지만 짧았던 인생을 우리는 더 오래 기억합니다.
그래서 가인박명이라는 말은 그 사람의 인생을 비극이 아니라 한 편의 시처럼 기억하게 해주는 말이기도 하죠. 짧아도 깊은 인생, 그 아름다움과 허무함을 동시에 담은 네 글자. 바로 가인박명(佳人薄命)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감언이설(甘言利說)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남을녀(甲男乙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
감탄고토(甘呑苦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
감언이설(甘言利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
갈이천정(渴而穿井)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