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세상은 '무조건 이익만 챙기면 된다'는 분위기가 팽배합니다. 하지만, 모든 결정이 돈과 이익만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면, 우리는 결국 사람 간의 신뢰, 도덕, 윤리를 잃게 되죠. 이럴 때 꼭 되새겨야 할 사자성어가 바로 '견리사의(見利思義)'입니다.
'이익을 보면 먼저 그 일이 옳은가를 생각하라'는 이 말은, 윤리적 선택, 정직한 판단, 도덕적 행동을 중시하라는 가르침을 담고 있어 지금 이 시대에 더욱 절실하게 필요한 교훈입니다.
오늘은 견리사의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를 소개하겠습니다.
견리사의 뜻
'견리사의(見利思義)'는 '이익을 보면 먼저 그것이 의로운 일인지 생각하라'는 뜻입니다.
- 見(볼 견): 보다
- 利(이로울 리): 이익, 이로움
- 思(생각할 사): 생각하다
- 義(옳을 의): 의로움, 도리
즉, 견리사의는 이익이 앞에 보일 때, 그 이익을 취하기 전에 먼저 그 방법이 정당한 것인지,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지를 고민하라는 뜻입니다.
견리사의는 단순히 도덕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긴 안목에서 보았을 때 정직한 선택이 더 큰 신뢰와 결과를 가져온다는 철학적 지침이기도 합니다.
유래
견리사의는 유교 경전인 논어(論語) 헌문(憲問)편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공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君子見利思義, 小人見利思利"
군자는 이익을 보면 의를 생각하고, 소인은 이익을 보면 이익만 생각한다.
즉, 진정한 인격자는 눈앞의 이익보다 정의와 도리를 먼저 떠올리는 사람이며, 그 반대는 자신의 이익만을 좇는 이기적인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견리사의는 공자의 도덕 철학을 함축한 문장으로, 지금까지도 정치, 경제, 윤리 분야에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예문
견리사의는 정직, 공정함, 도덕적 판단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며, 특히, 기업 윤리, 공직자 행동강령, 일상 속 판단 기준으로 널리 활용됩니다.
- 그는 큰 이익이 보였지만 견리사의의 자세로 윤리적인 결정을 내렸다.
- 단기 수익에만 매달리지 말고, 견리사의처럼 장기적인 신뢰를 생각해야 한다.
- 회사의 정책도 견리사의 원칙이 반영돼야 지속 가능성이 생깁니다.
견리사의 반대말
견리사의의 반대말은 이익만을 좇고 도덕적 기준은 무시하는 행동을 가리킵니다. 이와 유사한 사자성어로는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있습니다:
- 견리망의(見利忘義) – 이익을 보면 의를 잊어버림
- 이리사욕(利利私慾) – 이익과 사욕만을 추구함
- 금전만능(金錢萬能) – 돈이면 다 된다는 태도
- 무도지행(無道之行) – 도리에 어긋난 행동
- 배은망덕(背恩忘德) – 은혜를 저버리고 도리를 모름
이러한 표현들은 모두 견리사의가 강조하는 도덕적 가치와는 정반대의 방향을 보여줍니다. 단기적인 이익을 위해 양심을 포기하는 행동은 결국 더 큰 손실로 돌아온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견리사의 유의어
견리사의와 같은 철학적 가치를 공유하는 사자성어들도 많이 있습니다. 정직함, 정의, 도덕적 판단, 양심적 행동을 중요하게 여기는 표현들이죠.
- 수처작주(隨處作主) – 어디서든 자기 기준과 신념으로 판단함
- 정명사상(正名思想) – 이름과 역할에 걸맞은 도덕적 행동
- 오상지덕(五常之德) –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 실천하는 덕목
- 지행합일(知行合一) – 아는 것을 행동으로 옮김
이러한 사자성어들은 모두 견리사의처럼 ‘올바른 판단 기준을 갖고 살아가자’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끝맺음
이익이 눈앞에 있을 때, 우리는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이건 과연 옳은 일인가?", "이 결정이 누군가에게 해가 되지는 않는가?", "양심과 도리에 떳떳한가?"
그런 고민 끝에 내린 선택은 비록 당장은 손해일지 몰라도, 결국 더 큰 신뢰와 명예, 그리고 지속적인 이익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오늘 하루도 견리사의의 마음으로, 도리와 정의를 기준 삼는 당신의 삶을 응원합니다.
👇 관련 글 모음
격화소양(隔靴搔癢)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문발검(見蚊拔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2 |
---|---|
견마지로(犬馬之勞)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2 |
견강부회(牽强附會)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2 |
격화소양(隔靴搔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2 |
건양다경(建陽多慶)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