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견마지로(犬馬之勞)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어떤 일을 하든 묵묵히, 성실하게, 그리고 충심을 다해 일하는 사람. 성과를 내기보다는 자신의 몸을 다해 헌신하고자 하는 마음.
이럴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가 바로 '견마지로(犬馬之勞)'입니다. 특히, 직장에서 상사에게 충성을 다하거나, 국가나 조직, 가정 등 큰 틀 안에서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겸손한 표현으로 자주 쓰입니다. 

 

썸네일

 

오늘은 견마지로의 정확한 뜻, 유래, 예문, 그리고 반대말과 유의어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견마지로 뜻

'견마지로(犬馬之勞)'는 '개나 말처럼 충성을 다해 수고한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 犬(개 견)
  • 馬(말 마)
  • 之(갈 지)
  • 勞(수고 로)

즉, 견마지로는 충심을 다해 자신을 낮추고, 하찮게 여겨질지라도 최선을 다해 봉사하겠다는 겸손한 마음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특히, 자기 공로를 말할 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충성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거나, 이미 한 노고를 낮춰 표현할 때 쓰는 겸양의 말입니다.

예를 들어, 부하 직원이 상사에게 "견마지로를 다하겠습니다"라고 한다면, 이는 "제가 몸을 바쳐 충성하겠습니다"는 뜻의 겸손하고 진중한 표현이 되는 것이죠.

 

유래

견마지로는 중국 고대 문헌인 사기(史記), 한서(漢書) 등의 기록에서 비롯된 고사성어입니다. 과거 왕조 시대, 신하들이 임금에게 자신의 충성을 표현할 때 스스로를 '개나 말처럼 하찮은 존재지만 충심은 다하겠다'고 하며 겸손과 충성을 동시에 드러냈습니다.

이러한 표현은 조선시대에도 유교 윤리 속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회사의 부하 직원, 군대의 병사, 공직자의 서약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공식적 표현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예문

'견마지로'는 자신의 공로를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충성심과 책임감을 전달할 수 있는 사자성어로, 공적인 자리나 공식 문서에서도 품위 있게 사용됩니다.

  • 비록 미천한 위치지만, 견마지로를 다해 조직을 위해 헌신하겠습니다.
  • 저는 그저 견마지로의 마음으로 조용히 일해 왔을 뿐입니다. 공은 모두 팀의 몫입니다.
  • 신은 견마지로의 충심을 다하였으나, 전하의 은혜를 다 갚지 못하였나이다.

한자한자

 

견마지로 반대말

견마지로가 충성심, 겸손함, 헌신을 의미하는 말이라면, 그 반대는 게으르거나 이기적이며, 조직이나 타인을 위해 수고를 다하지 않는 태도를 뜻합니다. 직접적인 반대 사자성어는 많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견마지로와 상반된 의미로 사용됩니다.

  • 태만무기(怠慢無紀) – 게으르고 질서가 없음
  • 불충불의(不忠不義) – 충성도 없고 의로움도 없음
  • 요령부득(要領不得) – 핵심을 잡지 못하고 노력도 부족함
  • 안일무위(安逸無爲) – 편안함에 젖어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음

이러한 표현들은 충성심과 책임감을 가진 견마지로의 태도와 대조적인 부정적인 삶의 자세를 나타냅니다.

 

견마지로 유의어

견마지로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도 여럿 있습니다. 이들 모두 겸손한 자세로 충성을 다하거나, 낮은 자세에서 최선을 다하는 삶의 태도를 강조합니다.

  • 분골쇄신(粉骨碎身) – 뼈를 갈고 몸을 부순다는 뜻으로, 목숨 바쳐 충성함
  • 맹서충성(盟誓忠誠) – 충성을 맹세함
  • 노심초사(勞心焦思) – 마음을 다하여 수고하고 애씀
  • 진심사헌(盡心事獻) – 마음과 힘을 다해 섬기고 바침
  • 위기지신(爲己之信) – 자기 스스로에게도 부끄럽지 않도록 성실함을 다함

이러한 표현은 조직에 충성하거나 누군가를 위해 헌신하는 자세를 겸손하게 표현할 때 함께 활용됩니다.

 

끝맺음

견마지로는 자신을 낮추며, 묵묵히 조직과 타인을 위해 헌신하는 마음을 담은 말입니다. 성과를 내세우기보다, 조용히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는 태도가 진정한 책임감이자 충성 아닐까요?

누군가에게 이렇게 말해보세요. "작은 역할일지라도, 견마지로의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한마디가 당신의 진심과 성실함을 가장 고전적으로, 그리고 품위 있게 전달해줄 것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견강부회(牽强附會) ⭐

견리사의(見利思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