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위험에 처했을 때,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눈을 돌리고 모른 체할 것인지, 아니면 위험을 무릅쓰고 나설 것인지.
세상이 각박해질수록, 진정한 용기와 책임의 가치를 되새기게 되는 순간들이 많습니다.
그럴 때 우리를 일깨워주는 고전의 한 문장이 있습니다. 바로 '견위치명(見危致命)'. 이 네 글자는 진정한 정의와 충성, 책임감이 무엇인지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견위치명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소개하겠습니다.
견위치명 뜻
'견위치명(見危致命)'은 '위태로운 상황을 보면, 목숨을 바쳐 그 의무를 다한다'는 뜻입니다.
- 見(볼 견): 보다
- 危(위태할 위): 위급함
- 致(이를 치): 바치다
- 命(목숨 명): 목숨
즉, 견위치명은 누군가가 위기에 처했거나 공동체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목숨을 걸고 나서는 자세를 표현한 말입니다.
견위치명은 특히 국가나 조직, 정의를 지켜야 할 책임이 있는 사람이 그 책임을 다하기 위해 생명까지도 바칠 각오가 되어 있는 모습을 상징합니다. 현대적으로 견위치명은 용기, 정의감, 희생정신이라는 키워드와 맞닿아 있습니다.
유래
견위치명은 공자의 가르침이 담긴 논어(論語) 헌문편(憲問篇)에서 유래한 사자성어입니다. 해당 구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見危授命, 見得思義.”
(위험을 보면 목숨을 바치고, 이익을 보면 의를 생각하라.)
이 문장에서 공자는 군자의 자세를 이야기합니다. 군자란 이익보다 의(義)를 앞세우고, 공동체가 위태로운 상황에서는 자기 목숨을 내놓을 줄 아는 사람이라는 것이죠.
이러한 정신은 의로운 사람의 기준, 또는 공직자와 지도자의 도덕적 덕목으로 지금까지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예문
견위치명은 생명을 건 희생정신과, 개인보다 공동체를 앞세우는 정의로운 자세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정치, 군대, 공무원, 의료진, 소방관 등 위험과 책임이 동시에 존재하는 분야에서 자주 인용되는 표현입니다.
- 그는 화재 현장에서 사람들을 구하려 뛰어들었다. 진정한 견위치명의 자세였다.
- 위험을 무릅쓰고 내부 고발을 선택한 그의 행동은 견위치명 그 자체였다.
- 비록 목숨을 잃었지만, 그는 마지막까지 의무를 다한 견위치명형 인물로 기억될 것이다.
견위치명 반대말
견위치명의 반대는, 위기 상황에서 도망치거나 책임을 회피하고, 자신의 안위만을 먼저 생각하는 태도입니다. 아래 사자성어들이 견위치명과 대조되는 의미를 갖습니다.
- 임전무퇴(臨戰無退) – 싸움을 앞두고 물러남이 없어야 함
- 안일무위(安逸無爲) – 편안함을 추구하며 아무 일도 하지 않음
이러한 표현들은 공동체보다 자신만을 생각하며, 위험 앞에서 도덕적 책임을 저버리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견위치명 유의어
견위치명과 의미가 비슷한 사자성어들도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정의, 희생, 용기, 공익 우선이라는 공통된 가치를 담고 있습니다.
- 견위수명(見危授命) – 위험을 보면 목숨을 바친다는 뜻
- 사즉생(死則生) – 죽음을 각오하면 산다
- 분골쇄신(粉骨碎身) – 몸이 부서져도 충성함
- 충군애국(忠君愛國) – 군주에게 충성을 다하고 나라를 사랑함
- 맹서충정(盟誓忠情) – 충성을 맹세하고 진심을 다함
- 사지지신(死而後已) – 죽고서야 멈춘다 (죽을 때까지 충성함)
이러한 표현들은 견위치명과 마찬가지로 도덕적 용기, 희생정신, 의로운 태도를 상징하며, 조직, 국가, 공동체를 위해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큰 의미를 전합니다.
끝맺음
세상이 편안해질수록, 정의와 희생, 용기 같은 단어는 점점 멀어지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하지만, 위기의 순간에 진짜 가치를 드러내는 사람이 바로 견위치명의 자세를 가진 사람입니다.
오늘 당신은 위기의 순간, 무엇을 먼저 생각하시겠습니까? 자신의 안전인가요, 아니면 지켜야 할 정의인가요?
👇 관련 글 모음
견문발검(見蚊拔劍)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란유골(鷄卵有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7 |
---|---|
계구우후(鷄口牛後)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7 |
경천동지(驚天動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6 |
경중미인(鏡中美人)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6 |
경이원지(敬而遠之)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