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아름다움이 한 나라의 운명을 뒤흔들 수 있다면, 그건 어떤 얼굴일까요? 역사 속에서 실제로 미모 때문에 왕이 정치를 그르쳤다는 이야기, 한두 번 들어보신 적 있을 겁니다.
이처럼 사람의 외모가 시대와 나라의 흥망에 영향을 미쳤다고 전해질 정도의 아름다움, 그것을 일컫는 말이 바로 '경국지색(傾國之色)'입니다.
이 글에서는 경국지색의 의미와 유래, 실제 예문, 유의어와 반대말까지 정리해드립니다. 고전 속 아름다움의 기준과 함께, 오늘날 우리가 이 말을 어떻게 이해하고 써야 하는지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국지색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를 소개하겠습니다.
경국지색 뜻
'경국지색(傾國之色)'은 '나라를 기울게 할 정도의 미모'라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 傾(기울 경): 무너뜨리다, 기울이다
- 國(나라 국): 나라
- 之(갈 지): ~의
- 色(색 색): 얼굴, 외모, 미모
즉, 경국지색은 너무나도 아름다워 왕이 빠지고, 그로 인해 나라가 망하게 될 수도 있을 정도의 여인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이는 단순한 미모의 칭찬을 넘어서, 절세미인에 대한 경외감과 두려움까지 포함된 고전적 표현입니다.
유래
경국지색이라는 표현은 중국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특히, 춘추전국시대 진나라의 포사(褒姒), 한나라의 여태후(呂雉), 당나라의 양귀비(楊貴妃) 등이 대표적인 ‘경국지색’으로 꼽힙니다.
예를 들어, 주나라 유왕은 포사의 웃음을 보기 위해 봉화를 올려 신하들을 속였고, 그로 인해 왕권이 약화되고 주나라가 몰락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이처럼 미모 하나로 나라의 운명이 흔들렸다는 전설에서 경국지색이라는 말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한국의 역사에서도 기생 황진이, 장녹수 등이 ‘경국지색’의 이미지로 그려지곤 했습니다.
예문
경국지색은 단순히 예쁜 외모를 넘어, 시대를 초월한 미모나 압도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
- 드라마 속 주인공은 등장만 해도 시선을 사로잡는 경국지색 그 자체였다.
- 그녀의 아름다움은 단순한 미모가 아니라 분위기까지 아우르는 경국지색이었다.
- 미인은 많지만, 그녀처럼 사람을 넋 놓고 보게 만드는 경국지색은 흔치 않다.
- 예로부터 경국지색은 남성 중심 사회에서 여성의 미모가 사회적 영향력을 가진 상징이기도 했다.
- SNS에서 화제가 된 그녀의 외모는 한눈에 봐도 경국지색이라는 말이 아깝지 않았다.
경국지색 반대말
경국지색은 최고의 미모를 뜻하지만, 그 반대는 특별히 아름답지 않거나, 평범한 외모를 의미합니다. 사자성어 자체로는 딱 부합하는 반대말은 적지만, 아래 표현들이 그 의미에 유사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무명지인(無名之人) –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평범한 사람
- 천부당만부당(千不當萬不當) – 전혀 어울리지 않음
- 인색지미(人色之微) – 미모가 특별하지 않은 상태 (의역적 표현)
- 색즉시공(色卽是空) – 외모는 곧 허상이다 (불교적 관점에서 미모의 무상함을 표현)
실제 현대적 용어로는 ‘평범한 외모’, ‘보통 사람’, ‘특징 없는 외모’ 등이 쓰이며, 경국지색의 반대 개념은 외모보다는 내면을 중시하는 태도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국지색 유의어
경국지색과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들은 대부분 '절세미인'을 뜻합니다. 다음 고사성어들은 같은 맥락에서 함께 사용되거나 대체 표현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무비일색(無比一色) –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미모
- 천하일색(天下一色) – 온 세상에서 으뜸가는 아름다움
- 해어화(解語花) – 말을 아는 꽃, 아름다우면서도 지혜로운 여인
- 화용월태(花容月態) – 꽃처럼 고운 얼굴과 달처럼 부드러운 자태
이들은 모두 외모뿐만 아니라 품격과 분위기까지 아우르는 여성의 미모를 묘사할 때 사용되며, 문학, 영화, 연극 등 다양한 장르에서 인물 묘사에 활용됩니다.
끝맺음
경국지색은 미모가 사회적 영향력을 지닌 상징으로까지 확장된 개념입니다. 오늘날에는 단순히 외모를 넘어, 분위기, 지성, 개성을 포함한 총체적 아름다움을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
당신이 생각하는 경국지색은 단순한 미모를 뜻하나요? 아니면 사람을 움직이는 깊은 매력을 의미하나요?
👇 관련 글 모음
경개여구(傾蓋如舊)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물생심(見物生心)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5 |
---|---|
경당문노(耕當問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5 |
경거망동(輕擧妄動)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5 |
금수(禽獸) 뜻, 유래, 예시, 비슷한 어휘 (0) | 2025.04.24 |
고희(古稀) 뜻, 유래, 예시, 비슷한 어휘 (+축하 문구)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