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탈을 썼지만 인간 같지 않다." 이처럼 누군가의 행동이 비인간적이거나 비도덕적일 때 우리는 그를 사람이라 부르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사용되는 사자성어가 바로 '금수(禽獸)'입니다.
금수는 단순히 동물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윤리와 도리를 잃은 존재를 빗대는 비유적 표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수의 정확한 뜻, 유래, 예문, 유의어까지 차근차근 정리해 드릴게요.
금수 뜻
'금수(禽獸)'는 한자로
- 禽(금): 날짐승
- 獸(수): 짐승
즉, 금수는 원래 의미로는 ‘날짐승과 들짐승, 즉 모든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비유적인 의미입니다. 금수는 본능에 따라 사는 동물처럼, 인간의 도리를 저버리고 행하는 비인간적인 존재를 비판할 때 쓰이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양심 없는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나 도덕적 타락을 일삼는 자에게 "금수만도 못하다", "금수와 같다"는 식으로 표현하는 것이죠.
유래
금수는 고대 유학자들과 성현들이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설명하면서 자주 언급한 단어입니다. 특히, 유교에서는 인간이 동물과 구별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예(禮)'와 '의(義)', 즉 도덕과 윤리를 지킬 줄 아는 자율성을 강조했죠.
그래서 금수는 "예와 의를 모르면 금수와 다를 바 없다"는 경고의 메시지로 사용되었습니다.
예로부터 동물은 본능대로 살지만, 인간은 이성과 도덕으로 살아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기에 금수는 자연스럽게 “도리에 어긋나는 인간”을 빗대는 부정적인 말이 되었습니다.
금수 예시
금수는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도덕성, 인격, 예의를 상실한 사람에게 쓰는 매우 강한 비판적 표현입니다.
- 사람이라면 저런 짓 못 해. 금수보다 못한 인간이야.
- 가정폭력을 아무렇지 않게 일삼는 그는 금수와 다를 바 없다.
- 타인의 고통을 즐기는 저런 금수 같은 자는 사회에 있어선 안 돼.
- 아동학대를 저지른 그는 인간의 탈을 쓴 금수에 불과하다.
- 전쟁 중 민간인을 학살한 행위는 금수만도 못한 만행이었다.
- 동료를 배신하고 뒤통수를 친 그의 행동은 금수에 가깝다.
금수와 비슷한 어휘
이러한 표현들은 모두 도덕적 기준이나 사회적 윤리를 파괴한 사람들을 지칭할 때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금수라는 표현의 함의와 문맥을 더욱 명확히 드러내주는 어휘들입니다.
어휘 | 뜻 |
금수만도 못하다 | 동물보다도 못한 비인간적 행동 |
짐승 같은 사람 | 이성과 도덕 없이 본능적으로만 행동하는 사람 |
무도하다(無道하다) | 도리를 벗어난, 잔인하고 악한 |
패륜아(悖倫兒) | 부모를 해치는 자, 도리를 거스른 자 |
끝맺음
금수라는 말은 인간 본성에 대한 물음이 담긴 표현입니다. 이성, 양심, 도리, 예의가 없는 사람은 사람이라고 부르기 어려운 것이죠.
현대 사회는 정보와 문명이 고도로 발달했지만,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때때로 금수와 같은 본능적이고 야만적인 모습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나는 지금 인간으로서 살아가고 있는가?" 금수는 우리가 스스로를 돌아보게 만드는 거울이기도 합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국지색(傾國之色)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5 |
---|---|
경거망동(輕擧妄動)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5 |
고희(古稀) 뜻, 유래, 예시, 비슷한 어휘 (+축하 문구) (0) | 2025.04.24 |
백중지세(伯仲之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4 |
계륵(鷄肋) 뜻, 유래, 예시, 비슷한 어휘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