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고희(古稀) 뜻, 유래, 예시, 비슷한 어휘 (+축하 문구)

by 하루리쌤

"이제 나도 칠순인데, 그냥 지나가긴 아쉬워." 우리의 인생에는 기념할 만한 나이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일흔 번째 생일, 즉 '고희(古稀)'는 삶의 무게와 지혜, 건강과 장수를 기리는 뜻깊은 나이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고희의 정확한 뜻과 유래, 일상 속 예시, 그리고 비슷한 표현과 연관 어휘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부모님, 조부모님, 혹은 가까운 어르신의 칠순을 앞두고 있다면 꼭 알아두어야 할 표현입니다.

 

고희 뜻

'고희(古稀)'는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옛날에도 드문 나이'라는 뜻입니다.

  • 古(고): 옛날
  • 稀(희): 드물다

즉, 고희는 일흔 살(70세)을 축하하고 기념하는 전통 용어로, 고대에는 이 나이까지 건강하게 살아 있는 사람이 드물었기에 특별히 축복하고 존경을 표하는 의미가 담긴 표현입니다.

 

유래

고희는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그의 시 <곡강(曲江)> 중 다음과 같은 구절이 등장합니다.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
“사람이 일흔 살까지 사는 것은 예로부터 드문 일이었다.”

이 시구는 당대뿐만 아니라, 이후 조선 시대를 거쳐 70세 생일을 의미 있게 기리는 표현으로 굳어졌고, 오늘날에도 ‘고희연(古稀宴)’이라는 잔치명칭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처럼 나이만을 표현한 것이 아니라, 삶의 귀함, 존경, 축복을 담아낸 상징적인 말이 바로 고희입니다.

 

고희 축하 문구 예시

고희는 가족과 이웃, 공동체가 함께 축복하는 인생의 기념비적인 순간임을 표현할 때 매우 효과적입니다.

  • 고희를 맞이하신 어르신의 건강과 평안을 기원드립니다.
  • 일흔 해 동안 쌓아오신 지혜와 따뜻함에 존경을 보냅니다. 고희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고희의 기쁨을 함께 나누게 되어 영광입니다.
  • 고희연에 초대합니다 – 1954년생 ○○○ 어르신 칠순 기념잔치
  • 고희를 맞은 아버지의 삶을 기리며, 가족이 마련한 작은 자리에 귀한 걸음 부탁드립니다.
  • 올해 고희를 맞으신 어르신들을 위한 경로잔치가 개최됩니다.

한자한자

 

고희 반대말

전통적으로 인생의 특정 연령에는 상징적 의미와 호칭이 존재하며, 그중 고희는 본격적인 장수의 시작을 알리는 첫 단계로 여겨집니다.

명칭 나이 의미
환갑(還甲) 61세 60갑자가 돌아오는 해
진갑(進甲) 62세 환갑 다음 해
고희(古稀) 70세 예로부터 드문 나이
희수(喜壽) 77세 ‘喜’ 자의 초서에서 유래
산수(傘壽) 80세 ‘傘’ 자의 모양에서 유래
미수(米壽) 88세 米(쌀 미) → 88
백수(白壽) 99세 百에서 一(1)을 뺀 99
기이지수(期頤之壽) 100세 오래 살아 기대되는 나이

 

끝맺음

고희는 일흔 해를 살아낸 인생 전체를 존중하고 축복하는 전통의 언어입니다. 그 어떤 수식어보다 깊은 의미와 온기를 담아낼 수 있는 말이죠.

부모님, 조부모님, 혹은 존경하는 어른이 고희를 맞으셨다면 그저 "생일 축하해요"라는 말 대신, "고희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라고 표현해보세요. 그 한마디에 담긴 품격과 정성은 더 큰 감동이 되어 돌아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