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열심히 했는데 왜 안 될까?" 혹시 당신도 이런 생각, 해본 적 있나요? 노력은 하고 있지만 집중하지 못하거나 방향을 잃고 방황하고 있다면, 그 원인은 '마음의 분산'일지도 모릅니다.

이럴 때 떠오르는 고사성어가 바로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정신일도하사불성의 정확한 의미, 유래, 실생활 예문, 그리고 반대말과 유의어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정신일도하사불성 뜻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은 '정신이 하나로 모이면, 무슨 일이든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 精神(정신): 마음과 기운
  • 一到(일도): 하나로 집중되다
  • 何事(하사): 어떤 일
  • 不成(불성): 이루지 못하다

즉, 정신일도하사불성은 온 마음을 하나의 목표에 집중하면 불가능한 일은 없다는 말입니다. 끈기, 인내, 집중력, 꾸준한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표현이죠.

 

유래

정신일도하사불성이라는 표현은 중국의 고전 문헌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조선시대 유학자들에 의해 교육·수양·학문적 노력의 상징어로 널리 쓰였습니다.

특히, 정신일도하사불성은 성리학자들이 학문에 정진할 때의 태도, 그리고 수신제가(修身齊家)의 자세를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되었죠. 이는 곧 "마음을 하나로 모아 집중하면 반드시 길이 열린다"는 동양적 사고와 철학이 녹아 있는 말입니다.

현대에서 정신일도하사불성은 자기계발서나 청소년 교육 자료, 동기부여 콘텐츠 등에서 자주 활용되며, 무엇이든 간절하게 집중하면 결국 성취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예문

정신일도하사불성은 어떤 목표든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격려의 말로 쓰입니다. 강한 집중력과 실행력을 강조할 때 사용하면 매우 효과적입니다.

  • 정신일도하사불성이라고, 집중해서 준비하면 이번 시험은 꼭 붙을 수 있어.
  • 하루 1%의 꾸준함, 정신일도하사불성이란 말처럼 결국 결과는 따라올 거야.
  • 운동도 마찬가지야. 정신일도하사불성의 자세로 임하면 몸도 마음도 변해.

한자한자

 

정신일도하사불성 반대말

반대 개념은 마음이 분산되거나, 목표 없이 행동할 때를 의미합니다. 정확한 반의어 사자성어는 없지만, 아래 표현들이 의미상 반대말로 쓰일 수 있습니다.

사자성어
우왕좌왕(右往左往) 갈팡질팡하며 중심을 잡지 못함
작심삼일(作心三日) 결심이 오래가지 못하고 쉽게 포기함
삼일천하(三日天下) 오래 지속되지 못함
심란의혼(心亂意昏) 마음이 어지럽고 뜻이 흐려짐

이러한 표현은 집중력 부족, 의지력 저하, 목표 없는 행동을 나타내며 정신일도하사불성의 메시지와는 정반대의 태도를 경고합니다.

 

정신일도하사불성 유의어

다음과 같은 사자성어들은 정신일도하사불성처럼 한 가지에 몰두하고 끝까지 밀고 나가는 자세를 강조할 때 함께 활용하면 좋습니다.

사자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 끈기와 인내의 상징
수적천석(水滴穿石)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 → 작은 노력의 힘
우공이산(愚公移山)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 → 꾸준함의 힘
불요불굴(不撓不屈) 꺾이지 않고 굴하지 않는다
일심전력(一心全力) 한마음으로 모든 힘을 다함

 

끝맺음

"작은 불도 한곳에 오래 두면 쇠를 녹인다"는 말처럼, 집중력과 인내는 결국 상상 이상의 결과를 만들어냅니다. 정신일도하사불성현대인의 자기계발, 공부법, 인생 태도를 관통하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합니다.

오늘 하루, 작지만 분명한 목표를 정하고 집중해보세요. 그 꾸준함은 분명 미래의 ‘결과’가 되어 돌아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