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하지욕(胯下之辱)'은 수치심을 견디며 큰 뜻을 이루기 위한 인내를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과하지욕(胯下之辱)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하지욕 뜻
'과하지욕(胯下之辱)'은 '사타구니 아래의 치욕'이라는 뜻으로, 극심한 모욕을 참고 견뎌 더 큰 뜻을 이루는 인내심을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胯(넓적다리 과): 사타구니, 넓적다리
- 下(아래 하): 아래
- 之(갈 지): ~의
- 辱(욕될 욕): 수치, 모욕
즉, 과하지욕은 누군가의 사타구니 아래를 기어가는 극단적인 수치를 당하더라도, 그 치욕을 감내하며 언젠가 큰 뜻을 이루겠다는 인내의 상징입니다. 과하지욕은 젊은 시절의 수모를 참으며 큰 인물이 된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유래
과하지욕은 중국 전한(前漢) 시기 한신(韓信)의 일화에서 비롯된 고사성어입니다.
젊은 시절 가난했던 한신은 동네 불량배에게 "네가 강하면 나를 죽여 보든가, 아니면 내 다리 밑을 기어가라"고 모욕을 당합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이었지만, 한신은 분을 삼키고 다리 밑을 기어가는 수모를 감내했습니다.
훗날 그는 한나라의 명장으로 성장하고, 이 일화를 통해 '큰일을 이루기 위해 치욕을 견딘다'는 상징으로 과하지욕이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사기(史記)》의 '한신열전(韓信列傳)'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문
과하지욕은 참고 견디는 인내의 자세를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다음은 구체적인 예문과 그 의미 설명입니다.
- 과하지욕을 견디며 끝내 대업을 이룬 그의 생애는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 큰 뜻을 이루기 위해 수모를 참은 한신의 사례처럼, 인내 끝에 성공을 거둔 삶을 칭송하는 표현입니다. - 고된 훈련과 따돌림 속에서도 과하지욕의 자세로 버텨낸 선수는 결국 국가대표에 발탁되었다.
→ 수모를 감내하면서도 목표를 포기하지 않은 태도를 강조하는 문맥입니다. - 그는 과거 무시당하고 배척받았지만, 과하지욕의 각오로 묵묵히 실력을 쌓아 지금의 자리에 올랐다.
→ 인내와 참음이 어떻게 현실적인 성과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주는 문장입니다.
과하지욕 반대말
과하지욕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경거망동(輕擧妄動): 깊이 생각하지 않고 경솔하게 행동함
→ 인내하지 못하고 즉흥적으로 반응하는 성격을 나타냅니다. - 일촉즉발(一觸卽發): 조금만 건드려도 곧 폭발할 듯한 위태로운 상황
→ 참지 않고 곧장 분노나 반격으로 이어지는 상태
이러한 반대말은 참지 못하고 성급하게 반응하는 태도를 드러내며, 과하지욕과는 정반대의 성향을 보여줍니다.
과하지욕 유의어
과하지욕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실제 고사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와신상담(臥薪嘗膽): 땔나무 위에 눕고 쓴 쓸개를 핥으며 복수를 다짐함
→ 치욕을 잊지 않고 끝내 뜻을 이루기 위해 고통을 견디는 의미 - 절치부심(切齒腐心): 이를 갈며 마음속 깊이 분함을 품음
→ 참아가며 때를 기다리는 내면의 인내심 강조 - 삼고초려(三顧草廬): 유비가 제갈량을 세 번 찾아간 고사에서 유래
→ 뜻을 이루기 위해 겸손히 인내하며 사람을 구함
이처럼 유의어들도 치욕이나 고난 속에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뜻을 이루는 자세를 나타냅니다.
끝맺음
'과하지욕(胯下之辱)'은 현대 사회에서도 끈기와 인내의 상징으로 자주 인용됩니다. 눈앞의 수치에 연연하지 않고 먼 미래를 내다보며 자신의 뜻을 지키는 사람에게 어울리는 말이기도 하죠.
살다 보면 누구나 견디기 힘든 상황을 마주하게 됩니다. 그럴 때 과하지욕의 의미를 되새긴다면, 인내가 결국 성공을 부른다는 교훈을 얻게 될 것입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감(龜鑑)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3 |
---|---|
구사일생(九死一生)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02 |
공명정대(公明正大)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2 |
지자불언(知者不言)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2 |
중생회향(衆生廻向)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