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감(龜鑑)'은 거울삼아 본받을 만한 훌륭한 본보기를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주로 "귀감이 되다", "귀감이 될 만한 인물" 등의 표현으로 쓰이며, 사회나 조직에서 모범이 되는 사람을 칭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귀감(龜鑑)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귀감 뜻
'귀감(龜鑑)'은 '거북의 등딱지(점)와 거울(거울 감)'이라는 한자에서 유래한 말로, 거울처럼 본받을 만한 훌륭한 모범을 뜻합니다.
- 龜(거북 귀): 점을 치는 도구로 쓰이던 신성한 거북
- 鑑(거울 감): 거울, 비추어 본보기 삼음
즉, 귀감이란 '예로부터 내려온 점치는 거북과 사람의 마음을 비추는 거울'처럼, 타인에게 모범이 되는 존재나 행동을 의미합니다.현대에서 귀감은 주로 "모범", "본보기", "교훈"과 같은 의미로 쓰입니다.
유래
귀감이라는 단어는 중국 고대 제왕들이 거북의 등껍질을 불에 그을려 점을 치고, 거울에 비추어 나라의 길흉을 판단하던 전통에서 유래했습니다.
특히, 《서경(書經)》과 《좌전(左傳)》 등에 나오는 기록을 보면, "거북과 거울은 통치자의 판단 기준이 되는 도구"로 자주 언급됩니다.
후세에는 거북의 지혜와 거울의 반사적 특성을 합쳐 '타인의 모범이 될 만한 인물이나 사례'를 일컫는 단어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신하나 백성이 모범이 될 만한 행위를 했을 때, 왕이 '귀감이 된다'는 표현으로 칭송한 기록도 다수 남아 있습니다.
예문
귀감은 사회적 모범이 되는 사람이나 사건을 칭찬하거나 본보기로 삼을 때 자주 사용됩니다. 다음은 실제 활용 예시입니다.
- 그는 평생을 정직과 청렴으로 살아와 모두의 귀감이 되었다.
→ 정직한 삶이 타인에게 본보기가 되는 경우 - 힘든 상황에서도 묵묵히 성실하게 일하는 모습은 젊은 세대에게 큰 귀감이 된다.
→ 인내와 노력의 자세를 존중하는 맥락 - 이번 봉사활동은 공동체 의식을 되살리는 귀감으로 평가받고 있다.
→ 선행이나 협력 사례를 사회적으로 본보기로 삼는 문장
귀감 반대말
귀감의 반대 개념을 담고 있는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반면교사(反面敎師): 부정적인 사례에서 교훈을 얻는다는 뜻
→ 귀감이 ‘본받을 만한 예’라면, 반면교사는 ‘반면에 되지 말아야 할 예’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서로 비슷한 잘못이나 부족함을 지적할 때
→ 모범과는 거리가 먼 태도나 처신을 나타냄
이처럼 반대말은 '이렇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경계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귀감의 가치와 상반되는 사례로 제시됩니다.
귀감 유의어
귀감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실제 고사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율형(律亨): 법과 규범이 되는 본보기
→ 조직 내 모범이 되는 인물 - 선행모범(善行模範): 선한 행동의 본보기가 되는 사람
→ 귀감과 거의 동일한 맥락에서 쓰임 - 풍행가절(風行駕節): 고결한 인품과 바른 행동을 가짐
→ 타인에게 존경과 모범이 되는 존재
이 사자성어들은 모두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긍정적 인격과 행동을 칭찬할 때 사용됩니다.
끝맺음
귀감은 단지 개인의 인격을 넘어, 집단과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존재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많은 선택을 합니다. 그 선택들이 누군가에게 귀감이 되는 삶의 자세로 이어진다면, 세상은 한층 더 따뜻해질 것입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처작주(隨處作主) 의미, 예문, 유래, 비슷한 사자성어, 반대말 (0) | 2025.05.03 |
---|---|
역린(逆鱗)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3 |
구사일생(九死一生)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02 |
과하지욕(胯下之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2 |
공명정대(公明正大)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