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린(逆鱗)'은 감히 건드려서는 안 되는 분노의 급소를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주로 권위 있는 사람이나 조직의 금기사항, 절대 침범해서는 안 되는 영역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역린(逆鱗)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역린 뜻
'역린(逆鱗)'은 문자 그대로 '거꾸로 난 비늘'을 의미하며, 임금이나 권위자의 분노를 자아내는 금기사항이나 건드려선 안 될 부분을 뜻합니다.
- 逆(거스를 역): 거스르다, 반대하다
- 鱗(비늘 린): 물고기나 용 등의 비늘
즉, 역린은 용의 목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뜻하며, 잘못 건드리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치명적인 급소를 상징합니다. 오늘날에 역린은 권력자의 분노 포인트 또는 극도의 분노를 유발하는 주제라는 뜻으로 자주 쓰입니다.
유래
역린은 《한비자(韓非子)》 설난(說難) 편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입니다.
이 고사에 따르면, 용은 온순한 존재이지만 목 아래에 한 개의 비늘만은 거꾸로 나 있어, 그곳을 건드리는 자는 반드시 죽음을 당한다고 전해집니다.
이 비유는 임금 또한 화평하게 보일 수 있으나, 잘못된 말이나 행동으로 그의 ‘역린’을 건드리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후 '역린을 건드리다'는 표현은 왕의 노여움을 산다는 의미로 굳어졌고, 현대에는 누구든 절대적으로 화를 내는 지점 또는 참을 수 없는 분노의 급소라는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예문
역린은 감정적으로 격노하게 만드는 포인트를 표현할 때 자주 쓰입니다. 다음은 문맥에 따른 예문과 설명입니다.
- 부하 직원이 상사의 역린을 건드리는 발언을 해 분위기가 급격히 얼어붙었다.
→ 조직 내에서 말실수나 선을 넘는 언행이 치명적인 결과를 불러오는 상황 - 그의 과거를 언급하는 것은 역린을 자극하는 행위나 다름없었다.
→ 개인적으로 절대 건드려서는 안 되는 주제를 언급한 경우 - 어떤 사람에게는 가족을 무시하는 일이 곧 역린일 수 있다.
→ 누구나 건드리면 분노하는 민감한 지점이 있음을 의미
역린 반대말
역린과 의미상 반대되는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관용대량(寬容大量): 너그럽고 도량이 큼
→ 감정을 쉽게 폭발시키지 않고 포용력 있게 대응하는 성격 - 해원상생(解怨相生): 원한을 풀고 상생한다는 뜻
→ 분노와 갈등을 유발하는 역린과 반대되는 조화의 태도
이처럼 역린이 폭발적 감정의 촉발점이라면, 반대말은 감정을 절제하고 포용하는 태도를 말합니다.
역린 유의어
역린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 비슷하나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진노(震怒): 천둥처럼 진동하는 분노
→ 매우 강력한 분노를 의미하며, 역린의 결과로 자주 등장 - 금기(禁忌): 함부로 건드려서는 안 되는 주제나 영역
→ 감정적으로, 문화적으로 절대 넘지 말아야 할 선 - 촉발(觸發): 자극을 받아 어떤 일이 벌어짐
→ 역린처럼 민감한 지점을 건드려 사건이 발생함을 뜻함
이러한 유의어들은 모두 감정, 분노, 금기, 폭발과 연관된 의미를 가지며, 역린의 개념을 다양한 문맥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끝맺음
역린은 우리가 관계 속에서 마주하는 보이지 않는 선을 상징합니다. 어떤 말이나 행동이 타인의 역린을 자극할 수 있는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신중한 소통을 통해 관계를 유지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우리가 누군가의 역린을 모르고 건드리지 않도록, 말과 행동에는 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리지(連理枝)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3 |
---|---|
수처작주(隨處作主) 의미, 예문, 유래, 비슷한 사자성어, 반대말 (0) | 2025.05.03 |
귀감(龜鑑)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3 |
구사일생(九死一生)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02 |
과하지욕(胯下之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