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천호지(叫天呼地)는 하늘과 땅을 향해 부르짖는다는 뜻으로, 극심한 슬픔이나 분노로 인해 하늘과 땅을 향해 울부짖는 상황을 묘사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규천호지(叫天呼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규천호지 뜻
- 叫(부르짖을 규): 크게 외치다, 울부짖다
- 天(하늘 천): 하늘
- 呼(부를 호): 부르다
- 地(땅 지): 땅
'규천호지(叫天呼地)'는 몹시 슬프거나 분하여 하늘과 땅을 향해 울부짖는다는 뜻으로, 극도의 감정 표현이나 절망적인 상황에서의 탄식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유래
규천호지(叫天呼地)는 특정 고전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는 아니지만, 중국 고전 문헌에서 하늘과 땅을 향해 부르짖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며, 이러한 표현들이 결합되어 극심한 감정을 표현하는 관용어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예를 들어, 『시경(詩經)』이나 『초사(楚辭)』 등에서 하늘과 땅을 향한 탄식과 부르짖음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예문
규천호지(叫天呼地)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랑하는 이를 잃은 그는 규천호지의 심정으로 밤새 통곡했다.
- 억울한 누명을 쓴 그는 규천호지하며 자신의 결백을 호소했다.
- 전란의 참상을 목격한 주민들은 규천호지의 절규를 터뜨렸다.
이처럼 규천호지는 극심한 슬픔이나 분노로 인해 하늘과 땅을 향해 울부짖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규천호지 반대말
- 함구무언(緘口無言): 입을 다물고 아무 말도 하지 않음
함구무언은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침묵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규천호지의 격렬한 감정 표현과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끝맺음
규천호지(叫天呼地)는 극심한 슬픔이나 분노로 인해 하늘과 땅을 향해 울부짖는 상황을 묘사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감정의 격렬한 표현을 통해 인간의 깊은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삶의 고통스러운 순간에 규천호지의 심정을 느끼는 것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 표현이며, 이를 통해 감정의 치유와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궤상공론(几上空論)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로망양(岐路亡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
근주자적(近朱者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귤화위지(橘化爲枳)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궤상공론(几上空論)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권상요목(勸上搖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