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궤상공론(几上空論)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궤상공론(几上空論)은 책상 위에서 펼치는 공허한 논의라는 뜻으로, 현실과 동떨어진 이론이나 실행력 없는 주장만을 늘어놓는 비생산적 토론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궤상공론


오늘은 궤상공론(几上空論)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궤상공론 뜻

  • 几(궤 궤): 책상
  • 上(위 상): 위에서
  • 空(빌 공): 헛되다, 내용이 없다
  • 論(논할 론): 논의, 주장

'궤상공론(几上空論)'은 책상 위에서 현실을 모른 채 하는 공허한 말잔치를 의미하며, 궤상공론은 실제 현장과는 괴리된 비현실적 담론, 또는 실행력 없는 이론만 강조하는 모습을 비판할 때 쓰입니다.

 

유래

궤상공론(几上空論)은 중국 명나라 이후의 문집과 논설문 등에서 등장한 관용적 표현으로, 특정 고사에서 유래했다기보다는 탁상 위에서만 하는 이론적, 형식적 논의에 대한 풍자적 표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한자어로는 “탁상공론(桌上空論)”, 또는 “공리공담(空理空談)”과 유사한 맥락으로 사용됩니다.

 

예문

궤상공론(几上空論)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장 경험 없이 정책만 설계하는 건 결국 궤상공론에 불과하다.
  • 실무자들의 고충은 무시한 채 회의실에서만 떠드는 건 궤상공론일 뿐이다.
  • 실행력 없는 이론은 아무리 그럴듯해도 궤상공론에 지나지 않는다.

이처럼 궤상공론현실과 동떨어진 비실용적 논의나, 실행 없는 계획에 대한 비판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궤상공론궤상공론궤상공론

 

궤상공론 반대말

  • 실사구시(實事求是):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를 탐구함
  • 행이불언(行而不言): 말보다 실천을 중시함

실사구시현실의 사실을 바탕으로 문제를 판단하고 해결하려는 태도로, 공허한 이론을 나열하는 궤상공론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행이불언말보다 실천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사자성어로, 말만 많은 궤상공론과 명확히 대비됩니다.

 

궤상공론 유의어

  • 탁상공론(桌上空論): 책상에서만 하는 실행력 없는 이론적 논의
  • 공리공담(空理空談): 공허한 이론과 말뿐인 논의
  • 허장성세(虛張聲勢): 실속 없이 허세만 부림 

이 유의어들은 모두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보여주기식으로 말만 늘어놓는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되며, 궤상공론과 의미상 거의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특히, 탁상공론은 현대 한국어에서도 널리 쓰이는 유의어입니다.

 

끝맺음

궤상공론(几上空論)은 현실을 모른 채 공허한 말만 늘어놓는 비생산적 논의나 회의를 경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실행 없는 이론은 아무리 논리적으로 정교해도 사회적 가치가 제한되며, 진정한 해답은 현장의 목소리와 실천에서 비롯됨을 궤상공론은 경고합니다.

 

 

👇 관련 글 모음
권불십년(權不十年) ⭐

권상요목(勸上搖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