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다문박식(多聞博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썸네일

 

다문박식(多聞博識)은 많이 듣고 널리 아는 사람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다문박식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다문박식 뜻

다문박식(多聞博識)은 많이 듣고 널리 아는 사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로, 풍부한 지식과 폭넓은 식견을 가진 사람을 칭찬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다문박식의 각 글자의 한자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 多(많을 다): 많다
  • 聞(들을 문): 듣다, 들은 것
  • 博(넓을 박): 넓다, 풍부하다
  • 識(알 식): 알다, 식견

즉, ‘다문박식’은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넓은 식견을 갖춘 사람을 표현하며, 지식인·학자·교양인 등을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유래

‘다문박식’은 고대 중국의 유교 경전과 역사서에서 널리 사용되던 표현으로, 특히 『논어(論語)』의 「술이(述而)」 편에서 공자가
“多聞擇其善者而從之(많이 듣고 그중 선한 것을 골라 따른다)”라고 언급한 부분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공자는 제자들에게 무조건적으로 지식을 쌓기보다는 많이 듣되 옳은 것을 분별할 줄 알아야 한다고 가르쳤고, 이러한 사고가 '다문박식'이라는 사자성어로 집약된 것입니다.

 

예문

다문박식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 교수는 수십 년간 세계 각지를 돌며 연구한 결과, 누구나 인정하는 학문적 다문박식의 상징이 되었다.
    → 넓은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쌓은 인물에 대한 묘사로 쓰였습니다.
  • 책을 좋아하는 그는 어릴 적부터 다문박식하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
    → 어릴 때부터 지식이 풍부하고 박식하다는 평가를 받은 경우입니다.
  • 다문박식한 사람일수록 겸손함을 잃지 않는 법이다.
    → 박식한 사람의 태도나 인성을 강조하는 맥락입니다.

한자한자

 

다문박식 반대말

다문박식의 반대 의미로 적절한 사자성어는 견문발검(見蚊拔劍)입니다.

  • 견문발검(見蚊拔劍): '모기를 보고 칼을 뽑는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과도하게 반응하거나 대처하는 사람을 일컫습니다.
    즉, 지식이 부족해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고 무지하거나 과장된 판단을 하는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넓은 식견과 판단력을 강조하는 '다문박식'과 반대되는 성격의 사자성어입니다.

 

다문박식 유의어

다문박식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박학다식(博學多識): 널리 배우고 많이 아는 사람을 뜻하며, 학문적 지식이 풍부한 사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견문발식(見聞拔識): 많이 보고 듣고 식견을 쌓는다는 뜻으로, 다양한 경험과 정보 속에서 식견이 뛰어난 상태를 가리킵니다.
  • 학식겸비(學識兼備): 학문과 지식을 겸비했다는 뜻으로, 실력과 교양을 동시에 갖춘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끝맺음

다문박식(多聞博識)은 단순히 많이 아는 것을 넘어, 폭넓은 지식과 균형 잡힌 사고력을 갖춘 사람을 의미합니다.
지식의 깊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과 열린 마음까지 갖춘 사람에게 어울리는 이 사자성어는, 오늘날에도 교양인의 덕목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진정한 다문박식함은 끊임없는 학습과 겸손한 태도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