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썸네일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맹자의 어머니가 자식의 교육을 위해 세 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맹모삼천지교는 환경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자녀 교육에는 올바른 환경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맹모삼천지교의 뜻, 유래, 예문부터 맹모삼천지교의 반대말, 유의어까지 전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맹모삼천지교 뜻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맹자의 어머니가 자식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가르침이라는 뜻으로, 올바른 교육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孟(성 맹): 맹자의 성
  • 母(어미 모): 어머니
  • 三(석 삼): 세 번
  • 遷(옮길 천): 옮기다, 이사하다
  • 之(갈 지): ~의
  • 敎(가르칠 교): 가르침, 교육

즉, 맹모삼천지교는 교육에는 무엇보다 환경이 중요하며, 부모의 책임 있는 선택이 자녀의 인성과 학습 태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의미입니다.

 

유래

‘맹모삼천지교’는 《열녀전(列女傳)》이나 《사기(史記)》 등에 전해지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맹자의 어머니는 처음에는 장례식장 근처에 살다가, 장례를 흉내 내는 아이를 보고 시장 근처로 이사했지만, 다시 장사꾼을 따라 하는 모습을 보고, 마지막으로 서당 근처로 옮기게 됩니다.

그 후 맹자는 바른 품성과 학문을 갖춘 인물로 성장했고, 이 일화는 교육 환경과 부모의 결단이 자녀의 인생을 바꿀 수 있다는 대표적인 고사로 전해졌습니다.

 

예문

맹모삼천지교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녀 교육을 위해 이사까지 감행한 그녀의 결단은 맹모삼천지교의 현대판이었다.
  • 좋은 친구와 교사를 만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맹모삼천지교의 교훈을 떠올리게 했다.
  • 환경이 인성 형성에 끼치는 영향을 생각하면, 맹모삼천지교는 지금도 유효한 가르침이다.

한자한자

 

맹모삼천지교 반대말

맹모삼천지교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교언영색(巧言令色): 말만 번지르르하고 행동은 따르지 않는 사람을 뜻하며, 진정한 교육이 아닌 겉치레에 치중하는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 방탕무치(放蕩無恥): 방탕하고 부끄러움이 없다는 뜻으로, 올바른 교육 없이 자란 인물의 모습을 상징합니다.

 

맹모삼천지교 유의어

맹모삼천지교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삼천지교(三遷之敎): 맹모삼천지교의 줄임말로, 교육을 위해 환경을 바꾼 맹자의 어머니의 가르침을 의미합니다.
  • 근묵자흑(近墨者黑):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는 뜻으로, 주변 환경이 사람의 인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학이불사즉망(學而不思則罔):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혼란스럽다는 의미로, 환경뿐 아니라 사고력과 주체적 학습의 중요성을 함께 강조할 때 활용됩니다.

 

끝맺음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고대의 이야기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교육 철학이자 부모의 책임과 판단의 중요성을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성장의 기반은 적절한 환경과 그 환경을 만들어주려는 어른의 진심 어린 노력임을 맹모삼천지교를 통해 다시금 되새겨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