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종복배(面從腹背)는 겉으로는 순종하는 척하면서도 속으로는 반항하거나 딴생각을 품는 태도를 비유한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면종복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면종복배 뜻
면종복배(面從腹背)는 겉으로는 복종하지만 속으로는 거역함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즉, 면종복배는 겉과 속이 다른 이중적인 태도나 위선적인 처신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 面(낯 면): 얼굴, 겉
- 從(좇을 종): 따르다
- 腹(배 복): 배, 속
- 背(등 배): 등지다, 반대하다
면종복배는 말이나 행동으로는 순종하는 듯 보이지만, 속마음으로는 전혀 따르지 않거나 다른 생각을 하는 이중적인 사람의 태도를 지적할 때 쓰입니다.
유래
‘면종복배’는 고전 문헌인 《후한서(後漢書)》, 《논어(論語)》, 《한서(漢書)》 등 유교 경전과 역사서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특히 면종복배는 충성과 위선을 구분하고, 진정성 있는 태도를 강조하는 맥락에서 자주 인용되었으며, 군신 간, 스승과 제자 간, 상하 간의 신뢰 관계를 깬 이중성을 비판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예문
면종복배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사 앞에서는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뒷말이 많은 그는 전형적인 면종복배형 인물이다.
- 그는 늘 면종복배로 처신해 사람들의 신뢰를 잃었다.
- 정치는 원래 면종복배가 판치는 세계라지만, 그래도 신의를 저버리면 오래가지 못한다.
면종복배 반대말
면종복배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표리일체(表裏一體): 겉과 속이 하나라는 뜻으로, 겉과 속이 다르지 않은 진심 어린 태도를 의미합니다.
- 중심일관(中心一貫):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변함없는 정직함과 성실함을 상징합니다.
면종복배 유의어
면종복배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면종후언(面從後言): 앞에서는 따르는 척하면서, 뒤에서 다른 말을 한다는 뜻으로, 겉과 속이 다른 위선적 태도를 그대로 드러내는 표현입니다.
- 양봉음위(陽奉陰違): 겉으로는 받들면서 속으로는 거역한다는 뜻으로, 이중적인 처신, 눈가림과 위선을 비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표리부동(表裏不同): 겉과 속이 같지 않다는 의미로, 말과 행동이 다르거나 속셈이 따로 있는 상태를 묘사합니다.
끝맺음
면종복배(面從腹背)는 신뢰를 저버리고 진정성 없는 처신을 일삼는 사람을 비판할 때 쓰이는 사자성어입니다.
겉과 속이 다른 이중적인 태도는 신뢰를 무너뜨리고 관계를 파괴하며, 결국 자신에게도 해가 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면종복배는 진실함과 일관성, 그리고 겉과 속이 하나 된 삶의 중요성을 다시금 되새기게 해주는 말입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불식정(目不識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9 |
---|---|
명약관화(明若觀火)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9 |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9 |
맥수지탄(麥秀之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9 |
만시지탄(晩時之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