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수자천(毛遂自薦)'은 자신의 능력을 믿고 스스로를 추천한다는 뜻으로, 적극적으로 기회를 잡는 태도를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수자천(毛遂自薦)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수자천 뜻
'모수자천(毛遂自薦)'은 '모수(毛遂)가 스스로를(自) 추천했다(薦)'는 말로, 자기 능력을 믿고 자신을 앞장 세워 어떤 일에 나서겠다고 자청하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 毛(털 모): 인명 毛遂(모수)
- 遂(이를 수): 성씨의 일부, 사람 이름
- 自(스스로 자): 스스로
- 薦(천거할 천): 추천하다, 천거하다
오늘날에 모수자천은 스스로를 추천하거나 어떤 일에 지원하는 행동, 또는 주저하지 않고 자신을 내세우는 적극적인 태도를 비유할 때 자주 쓰입니다.
유래
모수자천은 『사기(史記) · 평원군열전(平原君列傳)』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전국시대 조나라의 명신 모수(毛遂)는 평원군이 초나라에 사신으로 갈 때 식객 20인을 고르면서 자신은 빠졌다는 사실에 스스로 나서며 이렇게 말합니다.
“모수, 자천하옵니다(毛遂自薦).”
그는 자신이 비록 이름은 없지만 말재주와 판단력이 있으니 반드시 사명을 완수하겠다며 자청했고, 초나라 왕 앞에서 당당하게 외교력을 발휘해 조나라의 외교에 큰 성공을 가져왔습니다. 이 일화에서 유래한 말이 바로 모수자천입니다.
예문
모수자천은 자신의 능력을 믿고 기회를 자청하거나 스스로 나서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아무도 나서지 않는 회의에서 그는 모수자천하며 발표를 자청했다.
→ 자신감을 갖고 앞장서는 태도 - 신입사원이 모수자천하여 중요한 프로젝트에 지원했고, 실제로 큰 성과를 냈다.
→ 도전 정신이 좋은 결과로 이어짐 - 그녀는 회식 사회자를 뽑을 때 모수자천해 분위기를 살렸다.
→ 자발적인 행동이 긍정적 결과로 이어진 예
모수자천 반대말
모수자천의 반대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동태세(受動態勢): 상황에 끌려가는 태도
→ 능동적인 자천과 반대되는 소극적 자세 - 자기비하(自己卑下): 자신을 낮춰 생각함
→ 스스로 나서지 못하고 위축된 상태
이 반대말들은 기회를 잡으려 하지 않거나, 소극적으로 기다리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모수자천 유의어
모수자천과 유사한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기천거(自己薦擧): 자신이 스스로를 추천함
→ ‘모수자천’의 직역 표현 - 출처입신(出處立身): 세상에 나가 몸을 세우다
→ 세상에 나아가 자신의 역량을 펼침 - 입신양명(立身揚名): 출세하여 이름을 떨침
→ 자신의 능력을 세상에 드러냄
이 유의어들은 모두 자신을 믿고 앞에 나서는 자세, 또는 적극적 자기 표출을 의미합니다.
끝맺음
'모수자천(毛遂自薦)'은 능력을 숨기기보다는 용기를 내어 세상 앞에 나서는 사람의 자세를 상징합니다. 기회는 종종 스스로 만든 용기 있는 행동에서 시작되며, 그 첫걸음이 '모수자천'의 용기일 수 있습니다.
망설이기보다 한 걸음 앞으로. 당신의 이름을 당당히 내세워보는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생지신(尾生之信)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
문일지십(聞一知十)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망운지정(望雲之情)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만수무강(萬壽無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막역지우(莫逆之友)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