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부창부수(夫唱婦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부창부수(夫唱婦隨)'는 남편이 주장하면 아내가 따른다는 뜻으로, 부부가 화목하게 조화를 이루며 살아감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창부수(夫唱婦隨)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창부수 뜻

'부창부수(夫唱婦隨)'는 '남편이 노래하면(唱), 아내가 따른다(隨)', 즉 남편이 하는 일에 아내가 따르며, 부부가 서로 조화를 이루고 살아가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 夫(지아비 부): 남편
  • 唱(부를 창): 부르다, 주장하다
  • 婦(며느리 부): 아내
  • 隨(따를 수): 따르다

부창부수는 본래는 남편과 아내의 조화로운 협력을 강조하는 표현이지만, 현대에서 부창부수는 시대적 인식 변화에 따라 상호 존중과 평등한 부부관계를 의미하는 확장된 개념으로도 사용됩니다.

 

유래

부창부수는 『예기(禮記) · 곡례 편(曲禮篇)』에 등장합니다.

“부창지후 부수지화(夫唱之後 婦隨之和)”
— 남편이 앞장서고 아내가 조화롭게 따름

이는 가부장적 질서를 강조하던 유교 사회에서 이상적인 부부 상(像)으로 여겨졌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부부가 서로 이해하고 조화를 이루는 관계를 상징하는 말로 변화해 왔습니다.

 

예문

부창부수는 부부가 함께 뜻을 맞추고 조화를 이루는 모습이나, 서로의 삶을 존중하며 살아가는 장면에서 자주 쓰입니다.

  • 부모님은 40년 넘는 세월을 부창부수의 삶으로 살아오셨다.
    → 오래도록 조화로운 부부관계
  • 그 부부는 취미도 같고 생각도 잘 맞아, 누구나 부창부수라 부를 정도다.
    → 서로를 잘 이해하는 부부
  • 인생의 고비마다 서로에게 힘이 되어준 그들은 진정한 부창부수의 표본이다.
    → 협력과 동행의 관계

 

한자한자

 

부창부수 반대말

부창부수의 반대 의미를 지닌 실제 고사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상극(相剋): 서로 어긋나고 대립함
    → 조화롭지 못한 관계
  • 불목(不睦): 화목하지 않음
    → 부부 사이가 원만하지 않음

이 반대말들은 부부간의 불화, 갈등, 의견 충돌 등을 상징합니다.

 

부창부수 유의어

부창부수와 유사한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금슬지락(琴瑟之樂): 금(琴)과 슬(瑟)의 조화로운 소리처럼 부부가 화목하게 지냄
    → 부부간의 조화와 사랑
  • 해로동혈(偕老同穴): 함께 늙고 한 무덤에 묻힌다
    → 평생을 함께하는 부부의 정
  • 부부일심(夫婦一心): 부부가 한마음이 되어 뜻을 함께 함
    → 협력적이고 단단한 유대

이 유의어들은 모두 화목하고 상호 신뢰가 있는 부부관계를 표현합니다.

 

끝맺음

'부창부수(夫唱婦隨)'는 진정한 부부란 서로의 삶에 귀 기울이며 조화를 이루는 존재임을 상징하는 말입니다. 오늘의 부부관계는 과거와 달리 서로 존중하고 함께 성장하는 파트너십에 가까워졌습니다.
그럼에도 이 고사성어가 전하는 '조화'와 '화합'의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지금 당신 곁에 있는 사람과의 관계도 부창부수의 따뜻한 울림으로 이어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