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순구식(三旬九食)은 “30일 동안 아홉 끼를 먹는다”는 뜻으로, 극심한 가난과 궁핍함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삼순구식은 한 달 동안 고작 아홉 끼밖에 먹지 못할 정도로 매우 가난한 상태를 표현합니다.
삼순구식 뜻
- 三(셋 삼): 셋 → 삼순(三旬) → 한 달(30일)
- 旬(열흘 순): 열흘 → 삼순은 열흘씩 세 번, 즉 한 달
- 九(아홉 구): 아홉
- 食(밥 식): 끼니, 식사
삼순구식은 문자 그대로 “한 달 동안 아홉 끼니”, 즉, 한 달 내내 제대로 된 식사를 아홉 번밖에 못할 정도로 가난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유래
삼순구식(三旬九食)은 중국 고대 문헌인 《장자(莊子)》 외편 천운편(天運篇)에서 유래합니다.
장자는 자신의 가난한 삶을 두고, “내가 삼순에 아홉 끼를 먹고 산다(三旬九食)”고 말하며, 물질적 가난 속에서도 정신적 자유와 도(道)를 따르는 삶의 자세를 강조합니다.
즉, 삼순구식은 물질적 궁핍을 초월한 도가적 삶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쓰였지만, 오늘날에는 주로 극심한 가난과 생계의 어려움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문
- 그는 젊은 시절 삼순구식의 고난을 견디며 학업에 매진했다.
- 지금이야 부자가 됐지만, 과거에는 삼순구식으로 힘겹게 살았다.
- 전란 통에 가족들은 삼순구식조차 힘든 나날을 보내야 했다.
- 그는 삼순구식의 삶 속에서도 꿋꿋하게 도를 지켰다.
삼순구식은 가난, 궁핍, 극심한 생활고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합니다.
삼순구식 반대말
- 부귀영화(富貴榮華): 부유하고 귀하며 영화롭게 삶
- 산해진미(山海珍味): 온갖 귀하고 맛있는 음식
- 진수성찬(珍羞盛饌): 매우 풍성하고 화려한 음식
풍족하고 넉넉한 생활, 부유하고 호화로운 삶이 반대 개념입니다.
삼순구식 유의어
- 단사표음(簞食瓢飲): 소박한 밥과 물만으로 만족함, 청빈하지만 자발적 가난
- 호구지책(糊口之策): 겨우 입에 풀칠하는 정도의 계책, 근근이 살아가는 삶
모두 가난과 생활고, 소박한 삶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끝맺음
삼순구식(三旬九食)은 단순히 식량 부족을 넘어, 극심한 궁핍함, 생활고, 가난의 극단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삼순구식은 단순한 가난을 넘어, 물질적 빈곤 속에서도 정신적 가치를 지키고 도를 추구했던 삶의 태도까지 함축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삼순구식은 과거의 힘든 시절을 회고하거나, 생활의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때 매우 강력하게 쓰이는 말입니다.
👇 관련 글 모음
산자수명(山紫水明)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척동자(三尺童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4 |
---|---|
산해진미(山海珍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4 |
사양지심(辭讓之心) 뜻, 유래, 예문 (0) | 2025.07.04 |
호왈백만(呼曰百萬)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3 |
폐포파립(敝袍破笠)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