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해진미(山海珍味)는 “산과 바다에서 나는 귀한 음식”이라는 뜻으로, 세상에서 가장 귀하고 맛있는 음식, 진귀한 별미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산해진미는 산에서 나는 진귀한 식재료와 바다에서 나는 별미를 모두 아우르는 최고의 진수성찬을 상징합니다.
산해진미 뜻
- 山(산 산): 산
- 海(바다 해): 바다
- 珍(보배 진): 진귀하다, 귀하다
- 味(맛 미): 맛, 음식
문자 그대로 산해진미는 "산과 바다의 진귀한 음식", 즉, 세상의 온갖 귀하고 맛있는 음식들을 뜻합니다.
유래
산해진미(山海珍味)는 고대 중국의 문헌에서 유래합니다.
중국 고전 《산해경(山海經)》에도 등장하며, 왕실이나 귀족들이 산과 바다에서 나는 진귀한 재료로 최고의 음식을 차려내던 관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후 산해진미는 귀한 식재료와 맛있는 음식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예문
- 결혼식 피로연에는 산해진미가 가득했다.
- 이번 연회는 정말 산해진미로 차려진 최고의 잔치였다.
- 여행 중 현지의 산해진미를 마음껏 맛볼 수 있었다.
- 명절마다 부모님 댁엔 온갖 산해진미가 한 상 가득하다.
산해진미는 풍성하고 진귀한 음식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산해진미 반대말
- 호구지책(糊口之策): 겨우 입에 풀칠하는 계책
- 단사표음(簞食瓢飲): 소박한 밥과 물
화려하고 진귀한 음식의 반대는 소박하거나 궁핍한 식생활입니다.
산해진미 유의어
- 진수성찬(珍羞盛饌): 진귀하고 풍성하게 차린 음식
- 금상첨화(金上添花):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 음식을 표현할 때는 더할 나위 없는 최고의 음식
모두 풍성하고 귀한 음식을 상징하거나 묘사하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산해진미(山海珍味)는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넘어서, 세상의 온갖 귀하고 진귀한 재료로 차린 최고의 식사, 진수성찬을 뜻합니다.
오늘날에도 산해진미는 명절, 잔치, 연회, 축제, 미식 여행 등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며, 풍요, 호사, 특별함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자성어입니다.
👇 관련 글 모음
사양지심(辭讓之心)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척동자(三尺童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4 |
---|---|
삼순구식(三旬九食)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4 |
사양지심(辭讓之心) 뜻, 유래, 예문 (0) | 2025.07.04 |
호왈백만(呼曰百萬)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3 |
폐포파립(敝袍破笠)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