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수렴청정(垂簾聽政)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수렴청정(垂簾聽政)은 안에서 발을 드리운 채 정사를 듣는다는 뜻으로, 어린 임금 대신 왕실의 여성이 대리로 정치를 행하는 상황, 또는 겉으로는 다른 이가 통치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인물이 뒤에서 권력을 행사하는 경우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수렴청정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수렴청정 뜻

수렴청정(垂簾聽政)은 발을 드리운 채 정사를 청취한다는 의미로, 어린 임금 대신 황태후나 대비 등 왕실의 여성이 발을 내린 휘장 뒤에서 정사를 대신 다스린다는 뜻입니다.

  • 垂(드리울 수): 늘어뜨리다
  • 簾(발 렴): 휘장, 발
  • 聽(들을 청): 듣다
  • 政(정사 정): 정치, 국정

오늘날에 수렴청정은 공식적인 권력이 아닌 비선 라인이나 배후 권력이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하는 상황을 풍자적으로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

 

유래

‘수렴청정’은 중국 고대 황실에서 실제 있었던 정치 형태에서 유래합니다. 특히, 서태후가 청나라 말기 어린 황제 대신 수렴청정하며 권력을 행사한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 명성황후가 흥선대원군에게 수렴청정을 맡겼던 사례나, 대비가 왕의 어린 나이를 이유로 수렴청정을 하는 경우도 존재했습니다.

 

예문

수렴청정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어린 임금이 즉위하자 대비가 수렴청정을 선언했다.
  • 수렴청정이 길어질수록 국정은 더욱 혼란스러워졌다.
  • 겉으로는 대통령이지만 실제 권력은 수렴청정하는 비선 세력에게 있었다.

한자한자

 

수렴청정 반대말

수렴청정과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친정(親政): 임금이 직접 국정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수렴청정과 대조적으로 국왕이 직접 정사를 돌보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 공정무사(公正無私): 공평하고 사사로움이 없다는 뜻으로, 비선 권력이 개입하지 않고 투명하게 정치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수렴청정 유의어

수렴청정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렴시청(垂簾視聽): 발을 드리운 채 정사만 듣고 본다는 뜻으로, 수렴청정과 같은 맥락에서 쓰이며 왕실 여성이 휘장 뒤에서 정사를 대신하는 것을 말합니다.
  • 배후정치(背後政治): 뒤에서 정치를 한다는 뜻으로, 공식적 권력이 아닌 비선 권력이나 배후 세력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정사불투명(政事不透明): 정치가 불투명하다는 뜻으로, 수렴청정처럼 공식 권력 이외의 세력이 암암리에 정사를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끝맺음

수렴청정(垂簾聽政)은 과거 절대군주제 시대의 정치 형태 중 하나였지만, 오늘날에도 겉과 속이 다른 정치, 비선 권력, 배후 지배를 풍자하거나 비판할 때 사용되는 사자성어입니다.

진정한 친정(親政), 즉 투명하고 책임 있는 정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렴청정 같은 구태의 정치 행태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이 사자성어는 경고합니다.

 

 

👇 관련 글 모음
금상첨화(錦上添花) ⭐

군웅할거(群雄割據) ⭐

군신유의(君臣有義) ⭐

군위신강(君爲臣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