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구초심(首丘初心)은 여우가 죽을 때 고향 언덕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사람도 고향이나 본래 마음을 잊지 않고 그리워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구초심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수구초심 뜻
수구초심(首丘初心)은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고향 언덕으로 향한다는 의미로, 사람도 죽음이 가까워지면 자신의 고향이나 본래 마음을 그리워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首(머리 수): 머리
- 丘(언덕 구): 언덕
- 初(처음 초): 처음
- 心(마음 심): 마음
오늘날에 수구초심은 자신의 고향이나 근본을 잊지 않는 마음, 본래의 초심을 지키려는 자세를 강조할 때도 사용됩니다.
유래
‘수구초심’은 중국 고전 《회남자(淮南子)》 '설림훈(說林訓)'에서 유래했습니다.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고향 언덕으로 향한다는 고사에서 사람도 죽음이 가까워질수록 고향이나 자신의 본래 마음을 되새긴다는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
한국에서 수구초심은 정철의 '관동별곡'에도 등장하며, 고향이나 본디 마음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할 때 자주 인용됩니다.
예문
수구초심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외국 생활이 길어질수록 그는 수구초심의 마음이 더욱 간절해졌다.
- 고향을 떠난 지 30년, 그는 여전히 수구초심으로 고향 산천을 그리워했다.
- 수구초심이라 했듯, 사람은 누구나 본래의 자리와 마음을 찾고 싶어 한다.
수구초심 반대말
수구초심과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귀망본(富貴忘本): 부귀해지면 본래를 잊는다는 뜻으로, 수구초심과 달리 부와 권세에 취해 자신의 근본이나 고향을 잊어버리는 태도를 비판합니다.
- 망향망본(忘鄕忘本): 고향과 근본을 잊는다는 뜻으로, 수구초심과 대조적으로 사용됩니다.
수구초심 유의어
수구초심과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 북쪽에서 온 말은 북풍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잊지 못하고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하며 수구초심과 같은 의미입니다.
- 호사수구(狐死首丘): 여우가 죽을 때 고향 언덕으로 머리를 돌린다는 뜻으로, 수구초심의 원래 표현이며, 같은 의미로 자주 사용됩니다.
- 회향지정(回鄕之情):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 수구초심과 같이 고향을 그리워하는 감정을 나타냅니다.
끝맺음
수구초심(首丘初心)은 시대가 변하고 세상이 달라져도 사람의 마음속 깊은 곳에는 고향, 본래의 마음, 초심을 잊지 않으려는 본능적인 감정이 있음을 일깨워줍니다.
오늘 우리가 살아가는 바쁜 현대사회에서도 잠시 멈춰 서서 수구초심의 마음으로 자신의 본질과 초심을 되돌아보는 시간, 필요하지 않을까요?
👇 관련 글 모음
금의환향(錦衣還鄕)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불석권(手不釋卷)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
수렴청정(垂簾聽政)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수간모옥(數間茅屋)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송구영신(送舊迎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솔선수범(率先垂範)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