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호충비(宿虎衝鼻)는 잠든 호랑이의 코를 찌른다는 뜻으로, 조용히 있던 강적이나 위험한 존재를 건드려 스스로 화를 자초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숙호충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숙호충비 뜻
숙호충비(宿虎衝鼻)는 잠든 호랑이의 코를 찌른다는 의미로, 가만히 두어도 좋을 일을 건드려서 큰 화를 자초하거나, 스스로 문제를 일으켜 위기를 만드는 어리석음을 비유합니다.
- 宿(잘 숙): 자다, 잠들다
- 虎(범 호): 호랑이
- 衝(찌를 충): 찌르다
- 鼻(코 비): 코
즉, 숙호충비는 잠든 호랑이를 괜히 깨우거나, 조용한 상황을 괜히 건드려 더 큰 화를 부르는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합니다.
유래
‘숙호충비’는 중국 고전 《전국책(戰國策)》 등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잠자고 있는 호랑이의 코를 찌른다면 가만히 있던 호랑이가 깨어나 더 큰 위험이 닥친다는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오늘날에 숙호충비는 위험한 존재나 상황을 스스로 건드려 불필요한 위기를 자초하는 사람이나 행동을 경계할 때 쓰는 말입니다.
예문
숙호충비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경쟁사와의 갈등을 부추기며 숙호충비의 행동을 했다.
- 조용히 넘어갈 수 있었던 문제를 굳이 거론하는 건 숙호충비가 될 수 있다.
- 적을 자극하는 건 숙호충비라는 것을 그는 뒤늦게 깨달았다.
숙호충비 반대말
숙호충비와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임기응변(臨機應變): 상황에 따라 유연하고 지혜롭게 대처한다는 뜻으로, 숙호충비처럼 무모하게 건드리는 행동과 달리 신중하고 지혜로운 대처를 의미합니다.
- 자중지란(自重之亂): 내부의 혼란이라는 뜻으로, 숙호충비처럼 외부를 자극하지 않고 스스로 내부에서 문제를 자초하는 상황으로, 상황적으로 대조됩니다.
숙호충비 유의어
숙호충비와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건곤일척(乾坤一擲): 하늘과 땅을 건 도박이라는 뜻으로, 숙호충비처럼 무모하고 대담하게 승부를 거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자중지란(自中之亂): 스스로 내부에서 화를 자초한다는 뜻으로, 외부를 자극하여 화를 부르는 숙호충비와 비슷한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와신상담(臥薪嘗膽): 땔나무에 눕고 쓸개를 핥는다는 뜻으로, 숙호충비와 반대로 인내하고 때를 기다리는 태도를 강조할 때 대조적으로 사용됩니다.
끝맺음
숙호충비(宿虎衝鼻)는 위험하거나 무서운 존재를 괜히 자극하여 스스로 위기를 초래하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때로는 침묵과 인내, 상황을 지켜보는 것도
현명한 리더십과 지혜로운 처신이 될 수 있음을 숙호충비는 우리에게 알려줍니다.
👇 관련 글 모음
노마식도(老馬識途)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기상조(時機尙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
실사구시(實事求是)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수주대토(守株待兔)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수적천석(水滴穿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
수어지교(水魚之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