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실사구시(實事求是)는 사실에서 진리를 구한다는 뜻으로, 허황되거나 이론에만 치우치지 않고, 사실에 입각해 진리를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실사구시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실사구시 뜻

실사구시(實事求是)는 사실에서 진리를 구하다는 의미로, 사실을 있는 그대로 보고, 실제에 근거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려는 태도를 강조하는 말입니다.

  • 實(참 실): 실제, 사실
  • 事(일 사): 일
  • 求(구할 구): 구하다
  • 是(옳을 시): 옳음, 진리

즉, 실사구시는 이론이나 형식보다는 현실과 사실에 입각해 진리와 해답을 찾으려는 실증적 사고와 자세를 표현합니다.

 

유래

‘실사구시’는 중국 고전 《한서(漢書)》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유학자들이 학문을 할 때 공허한 이론에만 빠지지 말고
실사구시는 실제 상황과 사실을 바탕으로 진리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현대에도 과학적 태도, 합리적 사고, 실증적 방법론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예문

실사구시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과학적 연구는 언제나 실사구시의 자세로 접근해야 한다.
  • 그는 이론보다 실사구시를 중시하여 현장 경험을 중요하게 여겼다.
  • 실사구시의 정신이 부족하면 탁상공론만 늘어놓게 된다.

 

실사구시 반대말

실사구시와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탁상공론(卓上空論): 책상 위에서 하는 헛된 논의라는 뜻으로, 실사구시와 반대로 현실과 동떨어진 이론만 나열하는 태도를 비판합니다.
  • 공론무실(空論無實): 헛된 논의로 실질이 없다는 뜻으로, 실사구시처럼 사실에 근거한 태도와 반대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실사구시 유의어

실사구시와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진리탐구(眞理探求): 진리를 탐구한다는 뜻으로, 실사구시처럼 사실에 근거해 진리를 찾아가려는 자세를 의미합니다.
  • 구사일생(求事一生): 일을 평생 구한다는 뜻으로, 실사구시처럼 꾸준히 사실과 진리를 추구하는 태도를 상징적으로 표현합니다.
  • 학이불습(學而不習): 배우되 실행하지 않으면 헛 배움이라는 뜻으로, 실사구시처럼 실제 적용을 강조하는 자세와 연결됩니다.

 

끝맺음

실사구시(實事求是)는 허황된 이론이나 공허한 주장에 그치지 않고 사실과 현실에서 출발하여 진리와 해답을 찾아가는 합리적이고 실증적인 태도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날처럼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일수록 실사구시의 정신으로 본질을 꿰뚫고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관련 글 모음
노불습유(路不拾遺) ⭐

녹양방초(綠楊芳草) ⭐

누란지위(累卵之危) ⭐

다다익선(多多益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