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염량세태(炎涼世態)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염량세태(炎涼世態)는 뜨거움과 차가움의 세태라는 뜻으로, 권세가 있을 때는 사람들이 따르고 아부하지만, 권세가 사라지면 차갑게 등을 돌리는 세상인심의 변덕스러움과 인심의 냉혹함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현대에서도 권력과 성공의 유무에 따라 태도가 급변하는 사람들의 태도를 비판하거나 경계할 때 사용됩니다.

 

염량세태

 

이번 글에서는 염량세태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염량세태 뜻

염량세태(炎涼世態)는 권세가 있으면 뜨겁게 아부하고, 없어지면 냉정하게 돌아선다는 의미로, 세상 사람들의 변덕스럽고 이기적인 태도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炎(불꽃 염): 뜨거움
  • 涼(서늘할 량): 서늘함
  • 世(세상 세): 세상
  • 態(모양 태): 모습, 태도

즉, 염량세태는 인간 관계의 뜨거움과 차가움이 권세와 이해관계에 따라 급변하는 현실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유래

‘염량세태’는 중국 고전이나 역사서에서 널리 사용된 관용적 사자성어로, 특히, 관직에서 물러나거나 실세에서 멀어진 이들이 한때 자신을 둘러싸던 사람들의 태도가 돌변해 냉정해지는 현상을 보고 탄식하며 사용했습니다.

조선 시대 사화나 정쟁 속에서도 권세가 바뀔 때 사람들의 태도 변화가 염량세태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많이 회자되었습니다.

 

예문

염량세태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의 몰락 이후 주변 사람들의 태도는 염량세태 그 자체였다.
  • 정치권에서도 염량세태는 흔한 풍경이다.
  • 인생에서 염량세태를 너무 깊이 마음에 담으면 상처만 남는다.

염량세태염량세태

 

염량세태 반대말

염량세태와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죽마고우(竹馬故友):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친구라는 뜻으로, 염량세태처럼 이해관계에 따라 변하는 친구가 아니라, 변함없는 우정과 진심을 뜻합니다.
  • 지란지교(芝蘭之交): 지초와 난초 같은 고상한 우정이라는 뜻으로, 염량세태와 달리 세태에 흔들리지 않는 고결한 우정을 상징합니다.

 

염량세태 유의어

염량세태와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세태염량(世態炎涼): 세상의 태도가 뜨겁고 차가움으로 변한다는 뜻으로, 염량세태와 동의어로 사용되며, 사람들의 인심 변화가 빠름을 비유합니다.
  • 권세염량(權勢炎涼): 권세가 있을 때와 없을 때 태도가 변한다는 뜻으로, 염량세태처럼 권력의 유무에 따라 사람들의 태도가 바뀌는 현상을 강조합니다.
  • 토사구팽(兎死狗烹):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를 삶는다는 뜻으로, 염량세태와 같이 필요할 때만 가까이하고, 필요가 없어지면 냉정하게 버리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끝맺음

염량세태(炎涼世態)는 세상인심의 변덕과 냉혹함을 비판하고 경계하는 사자성어로, 자신의 지위나 성공에 따른 사람들의 태도 변화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진정한 인연과 관계를 소중히 해야 함을 일깨워줍니다.

오늘날에도 염량세태에 휘둘리지 않는 진심과 신의를 갖춘 인간관계가 더욱 귀중하게 여겨져야 할 때입니다.

 

 

👇 관련 글 모음
면종복배(面從腹背) ⭐

명약관화(明若觀火) ⭐

목불식정(目不識丁) ⭐

문경지교(刎頸之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