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연목구어(緣木求魚)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연목구어(緣木求魚)는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불가능한 일을 하려 하거나 방법이 잘못되어 목표를 이룰 수 없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현실을 무시한 어리석은 행동이나 근본이 잘못된 방법을 지적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연목구어

 

이번 글에서는 연목구어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연목구어 뜻

연목구어(緣木求魚)는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는 의미로, 애초에 불가능한 목표를 세우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목표를 이루려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합니다.

  • 緣(인연 연): 오르다
  • 木(나무 목): 나무
  • 求(구할 구): 구하다
  • 魚(물고기 어): 물고기

즉, 연목구어는 잘못된 수단으로 목적을 달성하려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표현입니다.

 

유래

‘연목구어’는 중국 고전 《한비자(韓非子)》 '유로 편(喩老篇)'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한비자는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하려는 것은 어리석다.

어떤 목표든 올바른 방법으로 접근해야 이룰 수 있다."고 하며, 잘못된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하려는 사람들을 경계했습니다. 오늘날에도 근본적인 원인이나 방법을 무시하거나 엉뚱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비판할 때 자주 인용됩니다.

 

예문

연목구어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실적인 준비 없이 사업을 시작하는 것은 연목구어일 뿐이다.
  • 그는 실력은 키우지 않고 운만 믿고 성공하려 하는 연목구어 같은 행동을 한다.
  • 시장 조사도 없이 제품을 출시하는 것은 연목구어와 다를 바 없다.

연목구어연목구어

 

연목구어 반대말

연목구어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순리행동(順理行動): 이치에 따라 행동한다는 뜻으로, 연목구어처럼 어리석고 잘못된 방법과 반대로, 올바른 이치와 방법에 따라 목표를 이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 근본치중(根本治重): 근본을 중요하게 다스린다는 뜻으로, 문제를 해결할 때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고 접근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연목구어 유의어

연목구어와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백일몽(白日夢): 대낮의 헛된 꿈, 연목구어처럼 이룰 수 없는 허황된 목표나 비현실적인 계획을 의미합니다.
  •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연목구어처럼 적절하지 못한 방법이나 과도한 행동이 오히려 결과를 망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탁상공론(卓上空論): 책상 위에서만 하는 헛된 논의, 현실과 동떨어진 논의나 실행력을 동반하지 않은 계획을 비유합니다.

 

끝맺음

연목구어(緣木求魚)는 목표를 이루려면 올바른 방법과 적절한 접근이 필수적임을 일깨워주는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비현실적이고 터무니없는 계획이나 무모한 도전을 하기보다는 현실적인 계획과 전략으로 접근해야 진정한 성공에 다가설 수 있음을 연목구어는 우리에게 경고합니다.

 

 

👇 관련 글 모음
망극지은(罔極之恩) ⭐

망연자실(茫然自失) ⭐

명경지수(明鏡止水) ⭐

만시지탄(晩時之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