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여조삭비(如鳥數飛)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여조삭비(如鳥數飛)는 새가 자주 날갯짓하듯 쉼 없이 연습하고 노력하라는 뜻으로, 학문이나 기술을 익힐 때 게을리하지 말고 새가 날갯짓을 멈추지 않듯 부지런히 정진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여조삭비


이번 글에서는 여조삭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여조삭비 뜻

여조삭비(如鳥數飛)는 새가 자주 날아야 하듯 끊임없이 배우고 연습해야 한다는 의미로, 학문이나 수행, 연습은 하루라도 게을리하지 말고 부단히 계속해야 실력을 유지하고 향상할 수 있음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如(같을 여): 같다
  • 鳥(새 조): 새
  • 數(자주 삭): 자주
  • 飛(날 비): 날다

즉, 여조삭비는 학문이나 기술은 새가 날갯짓을 멈추면 곧 떨어지듯, 늘 연습과 학습을 반복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유래

‘여조삭비’는 중국 고전 《한비자(韓非子)》나 유학 경전에서 등장하는 학문 권장 표현으로, 공자가 제자들에게 "새가 자주 날아야 멀리 갈 수 있다. 학문도 게으름을 피우면 퇴보한다."며 강조한 데서 유래합니다.

여조삭비는 오늘날에도 학습, 훈련, 자기계발 등 꾸준한 노력을 권장할 때 사용되는 사자성어입니다.

 

예문

여조삭비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외국어 공부는 여조삭비처럼 매일 꾸준히 해야 실력이 는다.
  • 여조삭비라는 말처럼 운동도 쉬지 않고 반복해야 효과가 있다.
  • 그는 여조삭비의 정신으로 하루도 빠짐없이 독서와 글쓰기를 실천한다.

여조삭비여조삭비

 

여조삭비 반대말

여조삭비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시지학(一時之學): 잠깐만 공부한다는 뜻으로, 여조삭비처럼 꾸준함을 강조하는 것과 반대로 한순간만 열심히 하다가 그치는 학습 태도를 비판합니다.
  • 작심삼일(作心三日): 결심이 오래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여조삭비처럼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하는 것과 정반대 되는 태도입니다.

 

여조삭비 유의어

여조삭비와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학불가기(學不可已): 배움은 그쳐서는 안 된다는 뜻으로, 여조삭비와 같이 학문과 수련의 지속적 태도를 강조합니다.
  • 권학지계(勸學之戒): 학문을 권장하고 게으름을 경계한다는 뜻으로, 여조삭비처럼 부지런히 배워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수불석권(手不釋卷):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는 뜻으로, 여조삭비와 유사하게 꾸준히 배움에 힘쓰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끝맺음

여조삭비(如鳥數飛)는 배움과 훈련은 새가 쉬지 않고 날갯짓을 하듯 꾸준하고 부지런하게 이어져야 한다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현대인에게도 여조삭비의 정신으로 하루하루 소홀함 없이 자기계발과 성장에 정진하는 태도가 중요함을 알려줍니다.

 

 

👇 관련 글 모음
맥수지탄(麥秀之嘆) ⭐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

면종복배(面從腹背) ⭐

명약관화(明若觀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