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와신상담(臥薪嘗膽)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와신상담(臥薪嘗膽)은 섶에 눕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온갖 고난과 수모를 참으며 복수를 준비하거나 큰 뜻을 품고 인내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특히, 수모를 참고 복수를 꿈꾸는 인내와 의지를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와신상담

 

이번 글에서는 와신상담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와신상담 뜻

와신상담(臥薪嘗膽)은 섶 위에 누워 쓸개를 맛본다는 의미로, 원한이나 패배를 갚기 위해 고통과 어려움을 스스로 견디며 절치부심(切齒腐心)하여 복수를 꾀하거나 큰 뜻을 이루려는 의지를 비유합니다.

  • 臥(누울 와): 눕다
  • 薪(섶 신): 섶나무
  • 嘗(맛볼 상): 맛보다
  • 膽(쓸개 담): 쓸개

즉, 와신상담은 고통과 시련을 스스로 견디며 목표를 향해 인내하고 절치부심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유래

‘와신상담’은 중국 고전 《사기(史記)》 '월왕구천세가(越王句踐世家)'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월나라 구천은 오나라에게 패배한 뒤 섶 위에 눕고 쓸개를 핥으며 끝내 오나라를 멸망시켰다는 고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복수를 넘어 큰 뜻을 위해 고난을 참고 견디는 인내의 상징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와신상담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와신상담의 각오로 모든 수모를 견디고 목표를 향해 나아갔다.
  • 와신상담 끝에 마침내 꿈꾸던 시험에 합격했다.
  • 기업은 초창기 와신상담의 시기를 지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와신상담와신상담

 

와신상담 반대말

와신상담과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안분지족(安分知足):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고 편안히 지낸다는 뜻으로, 와신상담처럼 큰 뜻을 위해 고통을 감수하는 것과 달리 현재에 안주하고 만족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자포자기(自暴自棄): 스스로를 버리고 포기한다는 뜻으로, 와신상담처럼 인내하며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과 정반대로 아예 모든 것을 포기해버리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와신상담 유의어

와신상담과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절치부심(切齒腐心): 이를 갈고 속을 썩인다는 뜻으로, 와신상담처럼 원한을 품고 복수나 목표 달성을 위해 고통을 견디는 태도를 표현합니다.
  • 감탄고토(甘呑苦吐):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와신상담처럼 감정을 숨기고 목표를 위해 참고 견디는 상황에서 함께 사용됩니다.
  • 사면초가(四面楚歌): 사방이 적에게 포위된 위기 상황을 뜻하며, 와신상담처럼 고난 속에서 절망하지 않고 극복하려는 의지와 함께 언급됩니다.

 

끝맺음

와신상담(臥薪嘗膽)은 복수를 꿈꾸거나 큰 뜻을 품고 고통과 굴욕을 참고 견디는 인내와 집념의 상징적 사자성어입니다.

현대인에게도 와신상담의 정신처럼 결코 포기하지 않고 어려움을 견디며 목표를 이루기 위한 의지와 끈기가 더욱 소중해지고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배수지진(背水之陣) ⭐

백골난망(白骨難忘) ⭐

백년하청(百年河淸) ⭐

백절불굴(百折不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