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일필휘지(一筆揮之)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by 하루리쌤

일필휘지(一筆揮之)는 한 번 붓을 휘둘러 쓴다는 뜻으로, 글을 단숨에 힘차게 써 내려가는 모습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일필휘지


오늘은 일필휘지(一筆揮之)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필휘지 뜻

  • 一(한 일): 하나, 한 번
  • 筆(붓 필): 글을 쓰는 도구
  • 揮(휘두를 휘): 휘두르다, 빠르게 쓰다
  • 之(~할 지): ~하다

'일필휘지(一筆揮之)'는 글을 거침없이 단숨에 써 내려가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일필휘지는 문장력이나 표현력이 뛰어나 생각이 막힘 없이 쏟아져 나오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일필휘지(一筆揮之)는 중국 명나라 문인들이 시문을 평가할 때 자주 사용한 표현으로, "단숨에 써 내려간 글이 기교 없이도 완성도 높고 기세가 넘친다"는 칭찬의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일필휘지는 특정 고사에서 유래했다기보다는 문장가나 서예가의 뛰어난 필력을 칭송하는 표현으로 정착된 사자성어입니다.

 

예문

일필휘지(一筆揮之)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한 편의 칼럼을 일필휘지로 완성해 편집자들을 감탄하게 했다.
  • 영감이 떠오르자 작가는 밤새 일필휘지로 원고를 써 내려갔다.
  • 발표문을 읽어보니 마치 일필휘지 한 듯 논리와 흐름이 완벽했다.

위 예문처럼 일필휘지창작이나 문서 작업에서 막힘 없이 써 내려가는 필력과 몰입 상태를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일필휘지일필휘지

 

일필휘지 반대말 사자성어

  • 우유부단(優柔不斷): 머뭇거리며 결정을 못 함

우유부단은 확신 없이 망설이는 태도를 의미해, 과감하게 써 내려가는 일필휘지와는 반대되는 성격입니다.

 

끝맺음

일필휘지(一筆揮之)는 생각이 분명하고 표현이 유려할 때, 글을 막힘 없이 써 내려가는 모습을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창작이나 글쓰기에서의 몰입과 집중력, 또는 내면의 확신이 표현되는 순간을 가리킬 때 가장 적절한 말입니다. 글뿐 아니라 확신 있게 행동하고 말하는 태도에도 확장해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 관련 글 모음
희로애락(喜怒哀樂) ⭐

주지육림(酒池肉林)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