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자가당착(自家撞着)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자가당착(自家撞着)은 스스로 자기가 한 말이나 행동에 앞뒤가 맞지 않아 모순에 빠진다는 뜻으로, 자신의 말이나 행동이 서로 충돌하거나 모순되어 스스로 논리에 갇히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논리적 오류, 자기모순, 비일관적인 태도를 비판하거나 풍자할 때 사용됩니다.

 

자가당착

 

이번 글에서는 자가당착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자가당착 뜻

자가당착(自家撞着)은 스스로 부딪히고 걸린다는 의미로, 자신이 한 말이나 행동이 스스로 앞뒤가 맞지 않거나 충돌하여 논리적으로 모순되거나 스스로 빠지는 상황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自(스스로 자): 스스로
  • 家(집 가): 자기
  • 撞(칠 당): 부딪치다
  • 着(붙을 착): 걸리다

즉, 자가당착은 자신의 말과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아서 스스로 논리적 충돌이나 모순에 빠지는 경우를 표현합니다.

 

유래

‘자가당착’은 중국 고전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로,《한비자(韓非子)》 '난세(難勢)' 편의 '모순(矛盾)' 고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한 장수가 "내 창은 뚫지 못할 것이 없고, 내 방패는 막지 못할 것이 없다"라고 말해 스스로 논리적 모순에 빠졌다는 고사에서 논리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는 상황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자가당착은 오늘날에 논리적 오류, 자기모순을 비판하거나 비일관적인 주장, 정책, 행동을 풍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자가당착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늘 원칙을 강조하면서도 예외를 두니 자가당착에 빠졌다.
  • 주장과 행동이 모순되어 자가당착이라는 비난을 받았다.
  • 자신의 주장을 스스로 부정하는 자가당착의 오류를 범했다.

자가당착자가당착

 

자가당착 반대말

자가당착과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종일관(始終一貫):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다는 뜻으로, 자가당착처럼 앞뒤가 맞지 않는 것과 달리 일관된 태도와 논리를 유지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일관성(一貫性): 처음부터 끝까지 일치된 흐름과 태도를 유지한다는 의미로, 자가당착과 달리 논리적 모순 없이 명확하게 주장을 유지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자가당착 유의어

자가당착과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모순당착(矛盾撞着): 창과 방패가 서로 충돌한다는 뜻으로, 자가당착처럼 스스로 논리적 모순에 빠진 상황을 비유합니다.
  • 자기모순(自己矛盾): 자신의 주장이나 행동이 스스로 모순된다는 뜻으로, 자가당착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자기 내면의 논리적 충돌을 표현합니다.
  • 동상이몽(同床異夢): 같은 상황에 있으면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한다는 뜻으로, 자가당착과 같이 겉과 속이 다른 모순된 태도를 비유할 때도 사용됩니다.

 

끝맺음

자가당착(自家撞着)은 자신의 말과 행동, 생각이 논리적으로 충돌하거나 앞뒤가 맞지 않는 상태를 비유하는 논리적 오류와 자기모순의 대표적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자가당착의 실수를 피하기 위해 자신의 말과 행동, 주장에 논리적 일관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는 비판적 사고와 성찰이 더욱 중요함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오비이락(烏飛梨落) ⭐

오상고절(傲霜孤節) ⭐

온고지신(溫故知新) ⭐

와각지쟁(蝸角之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