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종두득두(種豆得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종두득두(種豆得豆)는 콩을 심으면 콩이 난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결과가 나타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좋은 일을 하면 좋은 결과가, 나쁜 일을 하면 나쁜 결과가 돌아온다는 인과관계를 강조하며, 특히, 노력과 성과, 원인과 결과의 당연함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종두득두


이번 글에서는 종두득두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종두득두 뜻

종두득두(種豆得豆)는 콩을 심으면 콩이 나온다는 의미로, 원인을 제공하면 반드시 그에 걸맞은 결과를 얻게 된다는 인과관계의 법칙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노력한 만큼 성과를 얻거나, 자신의 행동이 그대로 결과로 되돌아옴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種(심을 종): 심다
  • 豆(콩 두): 콩
  • 得(얻을 득): 얻다

즉, 종두득두는 콩을 심었으면 반드시 콩이 나오고 다른 것이 나올 수 없음을 통해 행동과 결과의 불가분성을 표현합니다.

 

유래

‘종두득두’는 중국 고전 『후한서(後漢書)』 '두식 전(竇式傳)'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콩을 심으면 콩이 나고 팥을 심으면 팥이 나온다는 당연한 이치를 통해 원인과 결과의 법칙을 가르치는 말입니다.

오늘날에도 노력과 결과, 원인과 결과의 필연적 관계를 명확히 하거나 스스로의 행동에 책임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종두득두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노력한 만큼 결과를 얻으니 종두득두였다.
  • 종두득두라는 말처럼 행동한 대로 대가를 받았다.
  • 부지런히 씨앗을 심으면 종두득두의 결과가 따른다.

종두득두종두득두

 

종두득두 반대말

종두득두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조삼모사(朝三暮四): 결과는 같지만 표현만 바꿔 사람을 속인다는 뜻으로, 종두득두처럼 인과관계가 명확한 것과 달리 기만과 혼란을 초래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모순(矛盾): 창과 방패의 논리적 충돌이라는 뜻으로, 종두득두처럼 원인과 결과가 일관되게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앞뒤가 맞지 않고 서로 충돌하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종두득두 유의어

종두득두와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종과득과(種瓜得瓜): 참외를 심으면 참외가 난다는 뜻으로, 종두득두와 같은 의미로 심은 대로 반드시 그에 따른 결과를 얻음을 표현합니다.
  • 인과응보(因果應報): 원인과 결과에 따라 반드시 응보가 있다는 뜻으로, 종두득두처럼 행동과 결과의 필연성을 강조합니다.
  • 자업자득(自業自得): 자신의 행동의 결과는 자신이 받는다는 뜻으로, 종두득두와 같이 스스로 한 일의 대가를 스스로 받게 됨을 의미합니다.

 

끝맺음

종두득두(種豆得豆)는 콩을 심으면 콩이 나듯 자신의 행동과 선택이 결과로 반드시 돌아온다는 인과관계의 확실함과 자기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종두득두의 교훈처럼 노력한 만큼 결과가 따르고, 선한 행동에는 좋은 결과가 나쁜 행동에는 그에 걸맞은 대가가 반드시 따른다는 책임 있는 태도가 더욱 중요함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정저지와(井底之蛙) ⭐

조강지처(糟糠之妻) ⭐

조령모개(朝令暮改) ⭐

조삼모사(朝三暮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