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강지처(糟糠之妻)는 지게미와 겨를 먹던 시절을 함께 견딘 아내라는 뜻으로, 가난하고 힘들 때 함께 고생한 아내를 가리키는 사자성어입니다.
출세하거나 부자가 된 뒤에도 가난했던 시절을 함께 한 아내를 배신하지 않고 그 은혜와 의리를 잊지 않아야 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부부의 변치 않는 사랑과 의리를 상징하는 고전적 표현으로, 주로 남편이 초심을 지켜야 한다는 맥락에서 인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강지처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조강지처 뜻
조강지처(糟糠之妻)는 지게미와 겨를 먹던 시절 함께 고생한 아내라는 의미로, 가난과 어려움을 함께 겪으며 남편과 인생을 같이 한 아내를 가리키는 사자성어입니다.
남편이 성공한 뒤에도 그 은혜와 정을 잊지 않고 변함없는 부부의 의리를 지켜야 함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糟(지게미 조): 술찌꺼기
- 糠(겨 강): 쌀겨
- 之(갈 지): ~의
- 妻(아내 처): 아내
즉, 조강지처는 술 찌꺼기와 쌀겨를 먹으며 고생을 함께 한 아내를 늘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유래
‘조강지처’는 중국 고전 『후한서(後漢書)』 '송홍전(宋弘傳)'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후한 때 송홍이 높은 관직에 올랐으나 황제가 송홍에게 권세 있는 집안의 딸을 첩으로 맞으라 권하자, 송홍은 "지게미와 겨를 먹던 아내를 바꿀 수 없다"라며 조강지처를 끝까지 지켰다는 고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부부간 변치 않는 정과 의리를 상징하거나, 출세 후 초심을 잃지 말라는 의미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조강지처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조강지처를 잊지 않고 끝까지 사랑과 의리를 지켰다.
- 출세한 후 조강지처를 배신하는 사람은 참으로 비겁하다.
- 인생의 풍파를 함께 한 조강지처야말로 가장 소중한 동반자다.
조강지처 반대말
조강지처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및 한자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배은망덕(背恩忘德): 은혜를 배반하고 덕을 잊는다는 뜻으로, 조강지처처럼 함께 고생한 아내를 잊지 않는 것과 달리 은혜를 잊고 배반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변절자(變節者): 신념이나 충성, 의리를 저버리고 배반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조강지처처럼 초심과 의리를 지키는 것과 반대되는 태도를 표현합니다.
조강지처 유의어
조강지처와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백년지약(百年之約): 백 년을 함께 하기로 한 약속이라는 뜻으로, 조강지처처럼 부부의 변치 않는 사랑과 의리를 상징합니다.
- 백년가약(百年佳約): 백 년 동안 함께 하겠다는 아름다운 약속이라는 뜻으로, 조강지처와 같이 부부의 영원한 사랑과 의리를 비유합니다.
- 동고동락(同苦同樂): 고통과 즐거움을 함께 한다는 뜻으로, 조강지처처럼 인생의 어려움과 행복을 함께 한 부부나 친구, 동지를 의미합니다.
끝맺음
조강지처(糟糠之妻)는 가난과 역경 속에서도 함께 고생하고 인생을 같이 한 아내를 변함없이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부부 의리와 초심을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조강지처의 의미처럼 초심을 잃지 않고 함께 고생한 사람을 소중히 여기고 의리와 약속을 지키는 태도가 더욱 중요함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적재적소(適材適所)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삼모사(朝三暮四)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
조령모개(朝令暮改)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정저지와(井底之蛙)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절치부심(切齒腐心)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
절차탁마(切磋琢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7 |